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개발도상국의 식품안전성: 수출 뒤의 움직임

전문가 제언

식품안전은 건강과 생계에 관련되는 식품안보와 직결되므로 식품안전 증진에는 식품안보가 중요하다. 식품안전의 최선책은 비용-효율적 예방에 초점을 두고 위해에 근거해 농장에서 식탁까지 관리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개발도상국의 고가시장 특히 수출에서 이행되어왔다.

 

장려금이 있는 시장과 위해감소 방법의 준수가 보장되는 시장에서는 식품안전 증진이 가능하다는 증거가 있다. 개발도상국에서 식품의 불안정에 대한 소비자의 식품안전을 관리하기 위해서 공공노력은 가장 중요한 위해와 비용-효율적인 관리에 집중하여, 능력배양과 공급체인 조정을 지원하고, 식품안전관리에 대한 장려금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식품안전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주관하고 있다. 인증기관으로는 한국식품관리인증원과 한국의약품관리인증원이 있다. 2015년 우는 한국 소비자의 수입식품 안전성 인식에 관한 연구를 발표한 바 있다.

 

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HACCP)’을 적용해, 식품의 원료, 제조가공조리 및 유통의 전 과정에서 위해물질이 해당식품에 혼입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각 과정을 중점적으로 관리하도록 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식품 매개 질병 병원균에 대한 연구는 매우 활발하여 병원균의 검출과 동정방법에서 많은 성과가 도출되고 있다. 또한 식품안전기준도 비교적 엄격하다.

 

개발도상국의 식품안전증진과 수출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수입국 민간기준 준수를 권장하고 성과 장려금을 확대하는 외에 다른 방법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저자
Laurian Unnevehr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4()
잡지명
Global Food Securit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24~29
분석자
김*범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