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중 음향센서 네트워크의 통신보안
- 전문가 제언
-
○수중정보 수집, 수중 이동물체 탐지와 수중통신이 가능한 수중 음향센서 네트워크(Underwater Acoustic Sensor Network: UASN)의 연구는 네트워크 설계와 프로토콜 운용에 집중되고 있다. 노드간의 통신보안이 고려되지 않아 낮은 대역폭, 전파지연, 높은 비트오차 등의 수중통신 특성은 근본적으로 악의적인 외부공격에 매우 취약하다.
○ UASN의 효율적인 통신보안능력 구현을 위하기 계층별 프로토콜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악의적인 노드 탐지는 노드간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설계되며 수집된 데이터의 무결성 확인이 가능해야 하며 개인정보와 데이터 패킷의 비밀성이 보호되어야 한다.
○ 전원이 제한된 UASN의 수명연장은 주요한 운용요소로서 보안성과 동시에 연구되어야 한다. UASN은 공통 업무를 인접 노드와 상호 분담하여 교번적인 노드의 패킷 전송운용으로 망 수명을 연장한다.
○ 미국은 최근 Seaweb 프로그램을 통하여 광범위의 연안지역을 실시간 감시하는 UASN을 구축하고 있으며 무인잠수정을 이동 노드화 하여 모바일 에드혹 네트워크(MANET)로 진화하고 있다. 이것은 수중 이동환경에 적합한 다중접속, 접속제어, 보안기술 등을 개발하며 표준화를 준비하고 있다.
○ 네트워크 중심전(Network-Centric Warfare)에서 전쟁의 승패는 정보통신 보안 운용능력에 좌우된다. 특히 수중에서 UASN은 해저 환경정보와 잠수함과 같은 해저 이동표적 정보를 실시간 탐지하여 필요기관에 전송함으로서 해군의 수중작전 능력을 크게 향상시킨다. 또한 해상과 해저의 기상상태와 상황을 분석하여 자연재해의 사전예측과 피해를 최소화하게 된다.
○ UASN과 관련 보안기술의 국내 연구 활동은 대학과 기업에서 아직 기초연구 수준이다. 최근 SKT는 UASN 구축과제를 착수하여 국내 관련기관의 연구개발을 촉진하고 있다. 향후 예상되는 국내외 시장의 방대함을 주시하여 통신보안과 수명연장기법 등의 연구가 우선되어야 한다.
- 저자
- Guangjie Han, Jinfang Jiang, Ning Sun, Lei Shu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53(8)
- 잡지명
- IEEE Communications Magazin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54~60
- 분석자
- 조*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