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경드릴과 탭에 의한 최신 미세 구멍 가공기술
- 전문가 제언
-
○ 소형화, 고기능화 경향이 강한 전자정보기기·정밀의료기기분야 등에서 초정밀·미세절삭기술은 핵심기술로서 미소 직경과 심부 구멍가공에 대한 고효율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구멍가공은 레이저가공, 방전가공 등도 활용해왔으나 소경드릴 절삭에 의한 소경 구멍가공은 코팅한 초경합금드릴공구가 구멍가공 공구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 이 자료는 일본의 주요 공구메이커와 가공회사들이 최근 실현하고 있는 드릴과 탭 가공사례, 미소직경 및 심부 구멍가공 동향을 기술한다. 소경드릴가공과 탭가공을 사례별로 가공성능과 성과, 특징, 미소 나사절삭, 피삭재들을 제시함으로써 공구산업과 국내 마이크로부품의 소경드릴가공을 전문으로 하는 중소/중견기업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한다.
○ 구멍가공은 기계가공 중에서 점하는 비율이 높다. 근래에는 제품의 마이크로화를 실현하기 위해 구멍직경이 소형화 경향이다. 특히, 수송기기, IT기기, 의료기기, 항공우주기기 분야에서 수요가 많으며, 이에 따라 고도의 생산가공기술이 요구되는 추세다.
○ 구멍가공기술도 방전가공, 레이저가공 등으로 다양화하고 있으나 절삭가공은 피삭재에 구애받지 않고 가공정밀도가 양호하며, 저 코스트로 다른 가공보다 우위에 있다. 공구도 소경화가 진전되고 있고 성능도 향상 추세다(이 자료에서 심부가공용 코팅 초경합금 드릴의 최소직경은 0.1mm를 실현하고 있는 것으로 제시). 따라서 소경공구의 특성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스핀들이 요구된다.
○ 일반기계가공기술 분야와 같이 소경구멍가공은 산업현장경험에 기반하는 기술이다. 이에 따라 대학이나 연구기관의 연구실적은 상대적으로 적다. KISTI DB인 NDSL에서 “소경 구멍가공”을 검색한 결과 논문 5건, 보고서 6건, 특허 40건으로 국내 연구실적은 미미하다. 국내 특허출원의 경우도 40건 중 28건(70%)이 일본기업에서 출원하였다. 미세구멍가공기술은 정밀기계, 전자통신기기, 항공우주부품의 중요한 경쟁력지표임을 감안할 때 꾸준한 산학연 연구개발협력이 필요한 과제다.
- 저자
- MATSUOKA Toshitaka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5
- 권(호)
- 63(6)
- 잡지명
- 機械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16~21
- 분석자
- 박*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