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코딩 정보를 이용한 디바이스의 위치탐색 기술
- 전문가 제언
-
○ 이 기술의 핵심인 인코딩 정보를 이용한 위치탐색 시스템은 기 상용화된 다양한 통신네트워크(그림1의 102)를 통해 비상상황 및 위치탐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점이 기술적 가치가 있다. 아울러 위치정보 인프라(그림1의 114)를 통해 위치정보가 클라이언트에 실시간으로 전송됨으로써 신속히 비상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상용화의 가치가 있다. 이는 국내 근거리 간 위치정보 공유 서비스 산업 분야에 파급되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 모바일기기의 위치정보 탐색기능은 로컬 및 원격지 네트워크 셀(cell)에서 셀룰러 기지국을 통해 특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는 삼각측량법에서부터 많은 유형의 변화를 거듭해 왔다. 이 기술에서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가장 특징적인 GPS 좌표를 결정하는 인코딩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위치탐색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GPS 좌표를 결정하는 다수 위성 간에 간섭(interference)현상 발생 시 위치정보에 대한 상대적 소스를 생성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NFC 기능을 이용하여 로컬 클라이언트 기기에 위치정보를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회피설계가 필요하다.
○ 스마트 미디어기기와 이동통신 기술력이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기술과 접목되면서 최첨단 위치탐색 기술로서의 성장 잠재력을 나타내고 있다. 아울러 교통/운송, 수리학, 산림학, 가상 관광 및 건설 등의 분야에 적용되면서 Value chain을 더욱 넓혀가고 있다. 이 특허기술의 핵심인 인코딩 정보를 이용한 위치탐색 기술을 여기에 접목시킨다면 현재의 모바일 LiDAR 기술력 및 응용분야에 획기적인 변화를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친구 찾기, 긴급구난 등 LBS 기반 서버/플랫폼 기술은 측위 정확도와 다양한 리소스를 연계할 수 있는 표준기술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최근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4대 사회악, 납치, 미아발생, 긴급구난 등을 위해 핵심 기반기술인 측위기술에 의한 seamless한 위치정보 제공, 신뢰도 개선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어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핵심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 저자
- MICROSOFT CORPORATION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054168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7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