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가공산업 관리 및 도축장 폐수 특성과 처리: 동향과 발전
- 전문가 제언
-
○ 축산업을 운영하면서 배출되는 도축장폐수와 육가공시설 폐수에는 오염성분이 많고, 수거와 처리체계가 미흡해서 무단방류하게 되면 ,심각한 수질오염을 일으키고, 악취물질과 온실가스 등이 발생된다.
○ 고효율 혐기성처리에 중요한 기술발전, 영양분제거, AOPs, SWW 처리 과정에서 생물학적 처리와 AOPs처리의 결합기술 및 도살장과 육가공산업에서 폐기물 최소화, 용수감축, 물의 재사용과 리사이클 등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도록 강조하고 싶다.
○ 우리나라에서 활용되는 도축장 및 육가공시설 폐수처리시설은 보통 활성슬러지(AS)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지역여건에 적절한 복합형 SWW 처리시설의 모델을 개발하고 활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도축장폐수는 가축도살과 세척과정에서 혈액과 내장세척 등의 세척폐수로서 육가공시설에서 배출되는 깃털, 분뇨 등이 포함되며, 도축장 입지조건은 물이 풍부하고, 교통이 편리하며, 오물처리가 양호한 곳이 좋고, 주거지역이 멀리 떨어져 있어 공해가 발생치 않는 곳이 좋다.
○ 도축장과 육가공산업은 가축과 가금류 등을 도살하고, 해체해서 털과 혈액, 내장 등을 제거하는 산업과 이것들을 원료화로 햄과 소시지, 베이컨 등의 냉동가공제품을 만드는 산업으로, 육류가공과정에서 발생되는 독성폐기물과 고농도 폐수, 온실가스 및 악취가스 등은 환경오염방지를 위한 폐기물자원 순환사업과 함께 추진되어야 한다.
○ 정육, 낙농제품, 가죽 등의 제품을 대량으로 생산하는 육가공산업과정에서 폐기물과 폐수가 대량 발생되므로, 적절한 도축장, 가죽가공 및 유가공시설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폐수, 고형폐기물, 대기오염물질 등을 종합 관리해서, 생분해성 유기화합물, 부영양화물질, 독성물질의 배출을 저감해야 한다.
- 저자
- Ciro Fernando Bustillo-Lecompte, Mehrab Mehrvar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161()
- 잡지명
-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287~302
- 분석자
- 홍*형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