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S 시스템을 이용한 유정(Oil well)의 위치탐색 기술
- 전문가 제언
-
○ 이 기술의 핵심인 GPS 시스템을 이용한 유정위치 탐지 기술은 프로세서의 위성신호 기반 위치데이터와 최적의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위한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IUI)를 구축하여 실행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로써 기존의 수작업에 의한 위치탐색 오류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가치가 있다. 아울러 프로세서에 의해 탐지된 위성신호 기반기술을 이용함으로써 비교적 손쉽게 기술사업화를 실행할 수 있는 산업적 가치가 있다. 이 기술을 국내 GPS 시스템을 이용한 유정의 위치탐지 기술 분야에 적용한다면 세계 최고 수준의 유무선 통신 인프라를 갖추고 있는 국가로서 유망한 비즈니스 모델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 이 기술의 핵심인 GPS 칩(그림1의 414)을 통한 위성과의 위치탐색 시스템은 다수의 위성으로부터 지속적인 탐색위치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기반으로 유정의 탐색위치를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다수의 각 위성 간에 극심한 간섭(interference) 현상이 발생할 경우 위성신호가 혼선되어 정확한 위치탐색이 어려울 수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네트워크 서버(그림1의 434)와 데이터베이스(그림1의 432)의 기능을 강화시킨 회피설계가 필요하다.
○ LBS 기반의 위치탐색 기술은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 및 측위기술의 고도화를 통해 다양한 측위 인프라를 기반으로 발전되어 왔다. 특히 이 특허기술과 같은 네트워크 기반 측위기술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인프라임에도 불구하고 상용화 가능성이 미미한 상황이다. 국내 기술 및 표준방식이 미국 FCC의 E-911 기준에 근접하는 기술로 평가받기 위해서는 중계기의 전파신호 왜곡(distortion)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방식의 측위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화석연료의 고갈을 대비하여 각국은 해양시추 시스템을 통해 유정 탐사기술 시장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석유자원이 전무한 한국은 이를 통해 국내 시추장비 산업의 수요를 창출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해저의 셰일가스 시추와 같은 고도의 기술력을 개발?수출하여 부존자원에 대한 수입대체 효과를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이는 2020년 신 기후체제(New Climate System)에 대비한 대응책이기도 하다.
- 저자
- LANDMARK GRAPHICS CORPORATION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보통신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034541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보통신
- 페이지
- ~39
- 분석자
- 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