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착 및 미생물 환원에 의한 과염소산염의 처리
- 전문가 제언
-
○ 퍼클로레이트를 바이오 폴리머 흡착제에 흡착한 후 퍼클로레이트 환원 박테리아로 미생물 처리하는 새로운 퍼클로레이트 환원방법이 제시되었다. 흡착제 표면에 흡착된 퍼클로레이트 환원효율은 pH 7.0∼7.5에서 4일 이내 75∼85% 달성하였다. 퍼클로레이트 환원은 적절한 농도의 Cl- 및 SO4- 이온이 존재하면 증진되었으며 NO3- 이온에 의해 약화되었다. 흡착제 재생효율은 최초 및 2회 재생 시 각각 77.7 및 59% 이었다.
○ 퍼클로레이트는 광범위한 환경 오염물질이며 갑상선 호르몬을 저하시키는 화학물질로서 물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크며, 비활성이고 식물 등 자연환경에 축적되며 음용수와 식품을 통해 인체에 전달된다. 선진국들은 음용수 중 퍼클로레이트 허용기준을 강화하고 있으며 미국은 성인의 하루 허용 섭취량을 몸무게 1kg 당 0.7μg으로 권고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먹는 물 수질 권고기준을 15μg/L로 지정하고 있다.
○ 외국 사례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암모늄 퍼클로레이트는 대부분 로켓 추진제에 사용되므로 이 물질의 대량누출은 주로 암모늄 퍼클로레이트 생산 및 폐기지역에서 발생된다. 따라서 폐 추진제가 계 외로 배출되지 않도록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며 특히, 군에서 폐 로켓모터를 대량 처리할 경우 환경 및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 물에 용해된 퍼클로레이트 처리는 미생물 처리하거나 재사용이 곤란한 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여 왔으나 최근 재사용 가능한 이온교환수지가 개발되어 퍼클로레이트의 경제적 처리가 가능하게 되었다.
- 이 연구에서와 같이 흡착된 퍼클로레이트의 미생물 환원효과는 수용액 상태에서의 처리효율과 비교하면 환원효율이 60∼80% 수준으로 미흡하나 흡착제의 재생과 퍼클로레이트 폐기라는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에는 효과적이다. 따라서 향후 흡착제의 재생효율을 증진하기 위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 저자
- Wen Song, Baoyu Gao, Xing Xu, Tengge Zhang, Chang Liu, Xin Tan, Shenglei Sun, Qinyan Yue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279()
- 잡지명
-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522~529
- 분석자
- 이*철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