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저장된 유우분의 혐기성소화와 고액분리에 의한 휘발성지방산과 악취강도 저감

전문가 제언

축사 악취 저감기술은 축사 내외 환경제어, 악취저감 사료개발, 악취저감 미생물 선정과 보급, 가축분뇨 처리이용 기술방법의 개선 등에 있다

 

우리나라 가축분뇨시설 악취저감 업은 가축분뇨 고형 연료화사업의 성공에 의해 좌우된다. 지역에서 발생되는 가축분뇨를 고형연료화 시켜서, 가스화를 위한 연소장치에 공급해, 가스연료로 가스터빈의 전력과 열을 활용하는 축분 에너지화 시설보급이 필요한 실정이다.

 

생분과 미숙퇴비는 악취강도가 높아서 취기를 제거해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악취물질은 휘발성지방산, 암모니아, 유황 화합물질 등이 있으나, 축분 고액분리, 혐기성소화처리, 축분 산성화처리 등으로 악취물질의 발생을 억제, 감소시켜야, 축산업의 대기오염방지가 가능하다.

 

축사와 축분의 악취와 먼지 저감에 아래와 같은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사료 첨가제, 물 또는 오일 분무, 환기율과 공기 분배, 습식 스크라버(운영비 고가), 먼지 여과장치, 오존(안전성 과제), 바이오필터(악취 저감 효율 82%),방풍벽(축사 측면) 축사 구조변경(: 돈사 바닥 형태) 등이 있다.

 

축사 내부 가스 성분 가운데 환경으로 조절이 가능한 성분은 암모니아와 이산화탄소이며, 메탄과 황화수소는 축분 발효과정에서 발생된다. 축사 유해가스와 온도 조절도 중요하나, 축사 내부에서 발생하는 먼지농도 저감도 필요하다.

 

축사시설의 유해가스 허용농도는 황화수소 10ppm, 암모니아 25ppm, 메탄 1,000ppm 이산화탄소 5,000ppm, 아산화질소 3ppm 등이며, 호흡 가능한 먼지농도는 0.23mg/정도이다

 

축사와 축분에서 발생하는 악취저감 방법으로는 축사 내부의 축분 저장기간 감소, 축분 조성 성분의 변동, 축분 이용, 처리방법의 개선, 가축사료 성분 조정 등의 기술개발이 중요한 과제로 현재 많은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저자
Laura H. Page, Ji-Qin Ni, Hao Zhang, Albert J. Heber, Nathan S. Mosier, Xingya Liu, Hung-Soo Joo, Pius M. Ndegwa, Joseph H. Harriso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52()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91~98
분석자
홍*형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