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적 적용목적의 교차결합-생물고분자들
- 전문가 제언
-
○ 의학적 적용 목적의 조직공학 및 약물전달에 사용되는 적합한 뼈대(scaffold)들로 사용되는 것들에는 필름, 스펀지, 히드로겔, 초미세섬유 그리고 나노입자 등이 있다. 이러한 뼈대 제조의 재료로 생물고분자들(특히 단백질들과 다당류들)을 주로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이들이 생명체 내에서 세포 적합성 및 해로운 물질들의 방출 없이 체내에서 분해되는 능력을 가지기 때문이다.
○ 그러나 이러한 생물 고분자들은 수용성 환경에서의 기계적 성질과 안정성의 결여가 문제점이다. 교차결합(crosslinking)이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 시켜주지만, 대부분의 교차결합제(또는 가교제)들은 생물고분자들의 원치 않는 기능의 변화를 일으키거나 세포 독성을 보이는 것이 문제점이다. 이 리뷰는 생물 고분자물질들의 교차결합 기술에 관한 것과 그 개선 전략들을 알아본 것이다.
○ 연구자들은 현재까지의 교차 결합시킨 생물고분자들의 개발 현황과 그 장?단점을 제시하고, 앞으로의 연구는 카르복실산(또는 폴리카르복실산)으로 교차 결합시킨 생물분자들의 생물 적합성에 대한 결정적 증거들을 얻는데 주력하여야 하겠다고 제시한다.
○ 또 의학적 적용들을 위한 교차결합-생물고분자들에 대해 현재까지는 in vitro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므로, 앞으로 이들의 in vivo 적합성에 대한 검토를 통한 실효성을 높여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나노입자들의 행동에 대한 in vivo 연구는 혈액에서의 그들의 응집, 순환시간, 면역반응과 생리적 조건들에서의 안정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 국내의 의료산업, 제약산업 및 생물 바이오산업 관련 연구자나 종사자들은 본 리뷰에서 제시한 교차결합-생물고분자들 개발에 대한 개선전략을 참고하여 연구개발을 한다면 관련 제품 개발에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 저자
- Narendra Reddy,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33(6)
- 잡지명
- Trends in Bio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62~369
- 분석자
- 강*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