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스베리트롤(resveratrol)에 의한 비만증과 대사 장애의 예방과 치료 전략
- 전문가 제언
-
○ 비만증(obesty)은 부분적으로는 이소적 지방축적(간이나 골격근)에 의해 건강을 위협한다. 음주와 무관한 간의 지방축적은 지혈증과 인슐린 저항성에 의한 2형 당뇨병(T2D)의 발생으로 연결되기 쉽다. 비만증은 전 세계적으로 엄청나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남성은 1980년 28.8%에서 2013년에 36.9%, 여성은 29.8%에서 38.0%).
○ 이처럼 현재 우리는 비만증과 연관 대사이상증들에 대한 새로운 예방 및 치료 전략들의 필요성이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자연산 폴리페놀 물질인 레스베리트롤(resveratrol)은 매력적인 중요 대상 물질이 되고 있다. Resveratrol은 여러 식물들에 존재하는 폴리페놀의 일종이며, 가장 많이 들어 있는 식물은 한약재로 많이 사용되는 호장근(Polygonum cuspidatum)이라는 마디풀과의 다년초이다.
○ 이 리뷰는 resveratrol이 실험적 및 임상적으로 사람의 비만-연관 건강에 어떤 강력한 효과를 보일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resveratrol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기능, 인체 생명물질의 조성, 에너지 소모, 인슐린 저항성 그리고 간의 지방축적에 대한 효과들에 대한 최신 정보들을 살펴 본 것이다.
○ 지난 10여 년 간 resveratrol의 효과에 대한 동물실험에서 resveratrol은 AMPK?SIRT1?PGC-1α 축의 활성화를 통해 미토콘드리아 기능, 생명물질 합성과 인슐린 민감도 등에서 이로운 효과를 보임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사람에 대한 임상실험에서는 그 효과적 측면에서 동물실험에서의 결과들과 비교하였을 때, 일치도가 낮았다.
○ 국내의 한의학, 제약 및 건강기능 식품 관련 연구자나 종사자들은 본 리뷰에서 전망한 것처럼 사람에서 AMPK?SIRT1 축을 활성화시키는 resveratrol의 최적 투여량과 투여기간의 결정, BAT의 열 발생 기전에 효율성 및 만성 노출 효과들에 주로 초점을 두고 연구개발을 한다면 resveratrol 제품 개발에 큰 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 전망된다.
- 저자
- Marlies de Ligt,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1852()
- 잡지명
- Biochimica et Biophisica Acta (BBA) - Molecular Basis of Diseas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137~1144
- 분석자
- 강*성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