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후변화 적응정책 중재자로의 녹색기반

전문가 제언

위험스런 기후변화 전망이 어두울 때, 의사결정자는 사회가 이 위험에 적응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완화시킬 필요를 날로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GI는 기후변화에 대응 수단으로 이상적인 기후변화 적응정책으로 중요성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GI에서 지식의 괴리를 식별하고 GI 개념과 그것인 실로 무엇을 성취할 수 있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세심한 주의를 기울려 공동노력이 필요함을 지적했다.

 

GI는 동시에 다수 이득을 생산하는 다수기능 능력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광범위한 부분에서 정책분야 범위로 현저하게 들어나고 있다. 다수 기능성은 정책을 수행하기 전에 완전한 평가를 해야 한다는 새로운 도전을 가져다준다. 본 연구는 더욱 기후 장래를 보장하는 방향으로 길이 보이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몇 가지 GI의 오류를 지적했다.

 

GI의 역양으로 무엇을 성취할 수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중요한 첫 단계를 섭렵하여, 그것은 단일 목적 중에 하나인 기후변화적응에 초점을 두고 GI의 다수기능을 적용함에 있어서 현 장애가 어떻게 그것의 목적을 비효과적으로 끌고 가는가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GI의 정의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함으로 해서 그것은 개념을 이행함에 있어서 인기도 없고 적용 시 더 불일치하게 만든다. 여기에 전략적 정책중재에 제한을 받는다. GI의 다수기능성은 환경정책을 특정지어 준다. 만약 GI가 이런 상태로 계속 적용한다면, 기후변화적응을 생물다양성 보존으로 상승효과를 내면서 성취할 수 있고, 생태계서비스를 구체화할 수 있을 것이다.

 

환경 종사자들은 GI에 대한 목적과 정의를 더욱 명백히 한다면, 효과적으로 이행하고 평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진 흙탕물 보다 오히려 GI는 이전 숨은 장애를 극복하고 효과적으로 기후변화적응을 달성할 것이고 그리고 궁극적으로 장래를 더 확고히 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도 GI에 대해 정의와 목적을 잘 체계적으로 정립하여 환경정책을 이행할 필요가 있다.

저자
L.W. Sussams,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47()
잡지명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84~193
분석자
김*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