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효능과 키토산 나노입자
- 전문가 제언
-
○ 이 논문은 증가하는 약학 및 생물의학적 적용에 기인해서 6-MP 키토산 나노입자의 합성, 특성 검정 그리고 사람의 유방암(MCF-7)과 섬유육종 세포 주에서의 항암작용에 대해 평가하고 있다. 그리고 항암효능을 조사하기 위한 생체 내 약물동태학 프로화일 연구를 수행하였다.
○ 이 논문의 연구결과는 6-MP 키토산 나노입자가 항암효능, 생물 가용성 그리고 생체 내 약물동태학 프로화일을 증가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키토산은 점액 흡착성 중합체로 창자 내 점막과 결합 친화력이 있어서 창자 내강(lumen)에서 약의 체류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생물 가용성을 상승시킨다.
○ 최근에 키토산 나노입자가 약의 방출을 제어하는 약 전달시스템을 위한 유망한 운반체로 알려지고 있다. 키토산 나노입자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여러 방법 중에서 이온젤화(ionic gelation) 기술이 독성과 유기용매가 없고 편리하며 과정을 제어할 수 있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이 기술은 키토산의 양전하된 초기 아미노산 그룹과 sodium triphosphate (TPP)와 같은 음전하 polyanion 사이의 상호작용에 기초를 두고 있다.
○ 일반적으로 항암제 처리가 세포 주에서 산화스트레스 상태를 일으킨다.그리고 활성산소가 마이토콘드리아에서 p53(암 억제 단백질)과 시토크롬 방출을 통해 세포사멸을 유발시킨다. 항암제의 이러한 부작용은 항암제의 치료약량과 부작용 모두를 줄이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도 있다.
○ 키토산의 영양소로의 중요성은 국내에도 이미 널리 알려져 있으나 6-MP 키토산 나노입자의 항암제로의 가능성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그리고 학계나 산업계에서 키토산 나노입자를 이용한 항암제로의 개발을 염두에 둔 연구는 아직 활성화되고 있지 못한 실태이다.특히 실험동물을 이용한 생체 내 실험이나 임상실험은 거의 없어 이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 저자
- G.Prem Kumar,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100()
- 잡지명
- Pharmacological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47~57
- 분석자
- 김*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