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아데노신 수용체와 당뇨병

전문가 제언

지난 20여 년에 걸쳐 당뇨병은 전 세계적으로 건강문제에서 가장 중요한 도전과제의 하나였다. Type Itype II로 분류되는 당뇨병은 몸속 혈액 내의 포도당 수준에 관한 병이다. 이 논문은 A2B 아데노신 수용체의 변형(modulation)을 통해 당뇨병과 관련된 퓨린을 포함하고 있거나 방출하는 신호에 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변경된 인슐린에 의해 조절되는 포도당 수송과 대사작용은 간, 골격근육 그리고 지방조직에서도 당뇨병의 특징으로 나타난다. 결과적으로 포도당, 유리지방산 그리고 친 염증성 싸이토킨이 증가하여 심장, 중추신경계, 콩팥, 비뇨생식기와 위장, 피부 그리고 골격근육 같은 다른 조직과 기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병을 일으킨다.

 

뉴클레오시드 아데노신이 A1, A2A, A2B, 그리고 A3로 명명된 아데노신 수용체(ARs)와 짝을 이룬 4개의 G-단백질의 활성화를 통해서 인슐린 분비, 포도당 순항, 그리고 지질 대사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최근 당뇨병 치료약을 개발하기 위한 유망한 새로운 아류형(subtype)A2B 아데노신 수용체 아류형이다. 당뇨병에 걸린 여러 가지 동물모델에서 A2B 아데노신 수용체 아류형에 따른 선택적인 작용물질과 길항물질의 사용이 세포 대사작용에서 A2B 아데노신 수용체의 몇 가지 효과를 동정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Type II 당뇨병은 보통 늦게 발병하는 병이며 종종 비만과 낮은 단계의 지방조직의 염증 및 췌장 속에서 인슐린을 분비하는 세포군의 자가 염증과 연관되어있는 것으로 보인다.

 

당뇨병은 국내에서도 상당히 중요한 질병으로 집중적으로 신약개발에 의한 치료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리고 아데노신 수용체 관련 연구도 인체 유전학적인 연구와 더불어 학계, 산업계 그리고 병원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많은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저자
Stefania Merigh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99()
잡지명
Pharmacological Research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29~236
분석자
김*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