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토콘드리아 활성산소와 암 치료제 저항성
- 전문가 제언
-
○ 생리적 조건하에서 균형을 이룬 산화환원 시스템은 활성산소가 신호와 단백질 조절과 같은 특정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 적절히 이용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 미토콘드리아는 암세포 내에서 대사작용의 산화환원을 변경시키는 주요 조절인자이다. 양날의 검처럼 암 치료에서 미토콘드리아 활성산소 교란은 이롭거나 해로울 수도 있다. 그러나 활성산소 특이 암을 표적으로 이용하는 이점은 주요한 도전과제로 남아있다.
○ 활성산소 중개기작이 중요한 암을 표적으로 하는 전략이지만 새로운 연구결과는 만성적이고 비정상적으로 높은 활성산소 수준이 약제저항성을 포함하여 암 표현형을 유발하거나 더 두드러지게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 활성산소는 반응력이 강하고 산화스트레스를 증가시킨다. 이로 인해 조직의 손상을 가져올 수도 있다. 그리고 면역체계에 활성산소가 미치는 직, 간접적 효과가 질병의 발달을 유지하는 작용을 할 수도 있다.
○ 활성산소는 세포에서 균일하게 일어나는 동질적인 사건이 아니다. 건강하거나 병에 걸린 조직의 활성산소 수준은 예측하기 힘든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변할 수 있다.
○ 생리적인 산화환원반응은 유익하고 세포기능에 필수적인 몇 가지 중요한 신호를 제공하지만 미토콘드리아 효소의 방해 또는 어떤 전사인자는 산화환원 균형에 충격을 줄 수도 있다.
○ 활성산소의 작용기작 및 인체의 대사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도 상당히 활발한 편이다. 활성산소와 대사작용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결과가 있으나 암 치료 목적이나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 임상적인 연구는 아직 활성화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그러나 활성산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암 치료 목적의 임상실험도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저자
- Imoh S Okon and Ming-Hui Zou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100()
- 잡지명
- Pharmacological Research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170~174
- 분석자
- 김*일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