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캐스팅용합금의 최신동향
- 전문가 제언
-
○ 지구환경문제의 근본 원인은 현대 물질문명에 기인한다고 본다. 환경문제에서 자원 재활용(Recycling)은 가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이고 중요한 분야이다.
○ 주요 비철금속의 1차 제련 대비 재사용 에너지 소요량을 비교하면 구리 15~20%, 납 23%, 아연 39% 등인데 반해 알루미늄은 6%에 불과하다. 그만큼 알루미늄은 재생할수록 에너지 절약 효과가 큰 셈이다.
○ 사용된 폐 알루미늄은 이론상 100% 재활용이 가능하다. 재활용하는 것이 광석에서 생산하는 것보다 훨씬 유리하기 때문에 유럽에서는 음료수 용기로 사용되는 알루미늄이 42% 회수되고, 건축 재료로서 사용된 알루미늄은 85%가 회수되어 재활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양이 재생 알루미늄은 합금으로 재활용되고 있다.
○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부품은 자동차 부품으로 사용이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의 연비향상을 위해 차량 경량화로 하체부품으로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차량의 안전을 위해 연성재료의 수요가 늘고 있으나 이 연성재료에는 Fe가 0.5%이하로 함유되어야 하며 Si함유량도 제한적이므로 재생 알루미늄의 사용이 극히 제한된다.
○ 재생 알루미늄을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다이캐스팅 합금을 개발하였다. Fe함유량을 0.5%이하로 제한하여 금형에 소착을 방지하며 연성을 높이고, Si량을 4.5~6.5%로 제한하여도 주입온도를 약간 높여 유동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사출 게이트를 조절하여 연성을 높일 수 있는 합금을 개발하여 소개하였다.
○ 우리나라에서도 최근에 폐 알루미늄 재활용센터가 대기업 전업규모화시설로 계획되고 운영 중에 있다. 선별과 불순물 제거 기술을 적극 도입하여 실용화하고 있으며 완전성분 분석으로 사용 용도에 맞게 구분하여 재활용하고 있으며 다이캐스팅 업계에서도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품질의 안정도를 높여 경쟁력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 저자
- Miyachiri Shadou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56(3)
- 잡지명
- 素形材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23~29
- 분석자
- 이*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