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축?복합가공기에서 제어기술의 역할과 향후 전망
- 전문가 제언
-
○ 공업제품은 세계 규모의 경쟁시대를 맞이하고, 신제품을 시장에 투입하는 간격이 짧아져 가는 경향으로 신속한 신제품의 출하가 요구되고 있다. 원래 부품의 다량생산은 금형 등 형에 의존하여 소성가공 되어 왔지만, 절삭으로 양산하는 방식이 모바일기기 등에 사용되는 소형 부품 등에서 볼 수 있고, 머시닝센터 등에 의한 생산설비의 니즈는 높다. 동시에 설계단계에서 부품집약, 공정 간소화의 검토도 이루어지며, 어떻든 증대하는 생산설비의 합리화는 중요한 과제이다.
○ 5축 제어 머시닝센터나 다축?복합가공기는 동일한 가공준비로 복잡형상, 고정밀 다면절삭이 가능하기 때문에 3축 제어 머시닝센터에 비해 공정 간소화로 생산설비의 합리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 엔드밀 등 공구를 기울게 한 절삭이 특징으로 엔드밀 절삭 날의 절삭 포인트를 특정한 공구궤적에 의한 절삭으로 절삭속도를 배가시킬 수 있어 고 정밀 절삭에 공구수명도 길게 할 수 있어 절삭가공에 큰 기대가 된다.
○ 5축 제어 머시닝센터나 다축?복합가공기는 유럽을 시작으로 미국 일본 등에서 도입이 추진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이들 가공기의 제작기술은 공업선진국에 비해 미흡한 상태이며, 이 가공기를 다수 도입한 사례가 있어 가공기술은 상당 수준에 도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다축?복합가공기와 같이 첨단의 설계와 제작기술은 세계수준에 미달하고 있는 반면 향후 세계시장은 더욱 확대되어 갈 것으로 예견되어 설계제작 기술 개발에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
- 저자
- Ryuta SAT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일반기계
- 연도
- 2015
- 권(호)
- 63(7)
- 잡지명
- 機械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일반기계
- 페이지
- 20~24
- 분석자
- 정*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