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면활성제 AOT의 순도가 농약 품질에 미치는 영향
- 전문가 제언
-
○ AOT(혹은 에어로졸 OT)로 알려진 계면활성제는 다수의 제조사가 공급하며, 농약에 흔히 사용된다. AOT는 Dioctyl sodium sulfosuccinate, Docusate, DSS, DOSS 등으로도 부른다. 이 계면활성제 상품의 주성분은 디에스테르인 Sodium bis(2-ethylhexyl) sulfosuccinate이나, 이 성분 외에도 계면활성이 있는 동질이성의 두 가지 모노에스테르 부성분이 미량 포함되어 있다. 이 연구는 모노에스테르 부성분이 계면활성제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즉 계면활성제의 순도가 농약 제형의 안정성(장기 보관성)에 주는 영향을 연구한 것이다.
○ 저자들은 4개사 AOT 상품에 대하여 LC-MS 장치를 이용하여 디에스테르와 2종의 모노에스테르 함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한 결과, 모노에스테르의 함량에 상당히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 각 AOT 제품을 사용한 농약 제형 모델의 보관성(6개월 경시변화)을 실험한 결과, 모노에스테르 함량이 많은 AOT 제품일수록 더 많은 침전물이 검출되었다.
○ 학계에서 AOT 제품의 분석과 물성에 대한 연구보고는 다수 있으나 AOT(디에스테르)와 모노에스테르의 상호작용을 연구한 보고는 아직 없었다. 국내에서 AOT를 분석 혹은 이용한 연구 보고는 소수이다. AOT 제품은 국내 한농화성, 애경그룹 에이케이켐텍 등에서도 생산되고 있으므로 산업계에서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을 것이나 연구보고가 공개된 것은 없어 보인다. 충남대학교 류호률 연구팀의 AOT 분석에 관한 보고가 이 보고서에 인용되었다.
○ 이 연구는 AOT 제품 중 모노에스테르 성분에 대한 품질관리가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계면활성제를 고순도화 하면 부생물의 영향으로 인한 성능 저하가 없어지고 고기능화 되며, 또한 소량으로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OT와 같은 계면활성제가 농약제형과 같은 복잡한 혼합물에 첨가될 경우, 계면활성제의 주성분은 물론 부성분이 최종제품에 미치는 영향을 확실히 연구해야 할 것이다. 또 이와 같은 연구는 생산자 및 사용자 자체의 연구도 가능하겠지만, 산학연 연구의 좋은 대상이라고 생각한다.
- 저자
- Johannes Glaubitz, Karl Molt, Torsten C. Schmidt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18()
- 잡지명
- JOURNAL OF SURFACTANTS AND DETERGENTS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23~132
- 분석자
- 이*용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