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그네슘합금의 주조단조법
- 전문가 제언
-
○ 자동차 회사들은 지구 온난화에 영향이 있는 CO2 발생량을 줄이기 위하여 자동차의 연비향상이나 경량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자동차 구조나 부품에 사용 되는 실용 금속 중에서 Mg합금은 가장 가볍고 단위중량에 대한 굴곡강성이 가장 높은 특징이 있다. 그러나 Mg합금은 Al합금보다 기계적 강도나 내식성이 떨어지고 단조성도 낮아서 Mg 합금의 보급에 문제가 있다. 본고는 Mg합금을 반용융사출성형법으로 프리폼을 제조한 다음 마무리단조에 의해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는 기술임으로 자동차부품공업에 실용화가 기대되는 기술이다.
○ Mg합금의 압출이나 단조하는 방법은 연속주조법으로 빌릿을 제조하여 표면을 절삭해서 압출가공하는 방법과 용탕을 급랭시켜서 박편을 제조한 펠릿을 프리폼을 제조하여 압출고화 성형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이들에 비하여 본고의 반용융사출성형법으로 제조한 프리폼을 마무리 단조만으로 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이 더욱 간단한 특징이 있다.
○ 반용융가공법은 반용융재를 압출, 압연, 단조 및 벤딩 등을 통하여 판, 봉, 관, 성형품 등을 제조하는 방법이이다. 반응고가공법은 액상성분과 고상 성분이 혼합된 상태로 유동성이 있는 슬러리를 금형에 사출력으로 충전하여 프리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반용융가공에 비하여 반응고 가공법이 제품 목적에 따라 다르지만 간단한 특징이 있다.
○ 본고의 주조단조법은 일종의 레오캐스팅법이나 틱소캐스팅법을 응용한 방법인데, 본고에서는 AZ91D, AZ61A Mg합금을 이용하여 외부 가열형 실린더에 펠릿을 공급하면서 사출 성형하는 방법이라고 하였으나 펠릿 제조에 대한 기술 설명이 없다. 레오나 틱소캐스팅법에서는 고액공존 형 예비합금 빌릿을 제조하여 분쇄해서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 우리나라 Mg합금의 압연, 압출, 단조 등의 연구는 한국기계연구소,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나 연세 대학 등에서 연구하고 있고 알코아회사 등에서 Mg합금 단조하고 있으나 Mg합금의 반용융사출성형법에 의해 단조 하는 회사는 보이지 않는다. 이방법도 간단하게 자동차부품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관련 기업에서 연구개발하기를 기대한다.
- 저자
- Y.YAMAMOTO and K.SAKAMOTO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56(654)
- 잡지명
- 塑性と加工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545~549
- 분석자
- 황*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