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자동차 차체에 Al합금의 적용동향

전문가 제언

지구온난화 영향이 있는 CO2 발생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가정이나 공장 및 운송기관에서 발생하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자동차가 증가함에 따라 CO2 발생을 매년 엄하게 규제하고 있다. 자동차에서 CO2발생량을 줄이려면 연비향상, 자동차 중량감소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자동차, 연료전지 자동차를 확대 사용하는 방법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본고에서는 자동차 경량화를 위한 차체에 Al 합금의 적용 동향에 대한 기술로서 실제 차제 경량화 구성에 중요한 기술이라고 생각된다.

 

기계구조 부재의 파괴원인은 하중을 반복적으로 걸었을 때에 8090%가 피로파괴된다. 일반적으로 철강재료는 107 사이클에서 피로강도를 피로 한도로 하고, 이 응력 이하에서는 피로가 진행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나 Al합금은 명료한 피로한도를 갖지 않아서 107 사이클 이상에서도 피로가 진행되는 특성이 있다.

 

Al합금의 이러한 특성을 더하여 주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Si이 많이 함유됨에 의해 Al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상 상과 Al-Si 공정상의 2상 조직을 갖는 합금으로 전신성과 강도가 있는 합금으로 자동차 경량화 부재로 사용되고 있다.

 

일본의 다이캐스팅 산업 동향에서 2013년에 Al합금 생산량은 974,658톤 이었으나 2014년도에 1,006,286톤으로 증가하고, 자동차용 다이캐스팅으로 869,018(87%)를 사용하였다. 자동차 증가에 따라 또는 자동차 경량화에 따라 Al주물품 사용량이 증가하는 현상이라고 생각된다.

 

우리나라도 Al 합금의 판재, 압출재 및 주물 제품을 제조하는 고장들이 동남그룹, 코넥, 일신 다이캐스팅 등 회사들이 많이 있고 이들 재료를 자동차 차체에 이용하는 현대 자동차 등 여러 회사들이 있으며 특히 현대의 연료전지 자동차나 삼성 등의 리튬이온 전지자동차 차체는 Al재료를 많이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자동차 차체의 조립에서 이종금속끼리 접합기술, 접착제 개발 등 혁신적 구조재료개발에 산학연 협력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저자
Jiba Hikaruj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56(7)
잡지명
素形材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31~35
분석자
황*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