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벌에 대한 리스크가 감소된 살충제

전문가 제언

일반적으로 무척추동물은 낮은 공공프로파일을 갖지만 서양꿀벌(Apis mellifera L.)과 같은 깃대종의 인기는 꿀벌이 제공하는 제품이나 생태계 서비스에 따라 다양하다. 따라서 꿀벌감소에 대한 격렬한 논쟁은 양봉업자, 학계, 산업계 및 규제 당국의 초월하였으며 현재는 NGO, 공공매체, 소설가 및 일반대중까지도 본 논쟁에 가담하고 있다.

 

꿀벌의 벌집군집붕괴현상(CCD)에 대한 초기 관심과 우려는 곧바로 수분 매개체 감소에 대한 거대이슈로 변하였으며, 이 같은 현상에 농약이 연루되었을 잠재력에 초점이 맞춰졌다. 농약은 이미 앞서 보고된 개체군 감소에 원인물질로 인식되고 있었으며 특히 농업에 사용된 neon- icotinoid계 살충제 확산에 기인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렇지만 꿀벌 개체군 감소에서 이들 neonicotinoid계 살충제의 잠재된 중추적인 역할의 증거는 농약사용과 감소주목 간에 직접적인 관련성의 결여나 문제점에 대한 다요인성 인식이 증가하면서 논란의 여지가 남아있다.

 

꿀벌 개체군 감소에 대한 초점은 다른 종으로 확대되었고 특히 유럽과 미국에서는 호박벌에 주목하고 있다. 다른 벌 종에 대한 관심은 세계 다른 지역에서도 매우 중요한데 아직은 크게 주목하지 않고 있다. 더욱이 neonicotinoid계에 대한 지속적인 초점으로 현재 증거에서는 광범위한 스펙트럼의 화합물로 예측되어 추가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주제와 관련된 최근의 국내 연구동향을 보면 침투이행성 살충제의 토양처리 후 토마토 잎에서의 잔류농약이 꿀벌에 미치는 독성을 비롯하여 사과나무 잔류 살충제 아세페이트 접촉 후 꿀벌의 외부 증상 및 꿀벌감소에 대한 로봇 꿀벌을 이용하는 방안 등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저자
Wagner F Barbosa,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71()
잡지명
Pest Management Science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049~1053
분석자
한*빈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