흰개미 미끼의 상업용 출시 20년
- 전문가 제언
-
○ 흰개미 미끼가 상업용으로 출시된 지 20년이 경과하였지만 선진국에서는 2가지 주요 관리장비 중 하나로 두 가지 주요 목표를 갖는데 소량의 유효성분으로 흰개미 개체군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100편의 흰개미 미끼와 관련된 학술자료를 검토하였다.
○ 15편은 유효성분에 관한 것이었고 23편은 흰개미 종에 관한 것이었으며 16편은 국가별 연구에 관한 것으로 아직까지도 연구의 대부분은 미국에서 Reticulitermes속 흰개미에 대한 키틴합성 억제제 hexaflumuron에 집중하고 있었다.
○ 본 미끼 전략은 대부분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데 유효성분은 약 0.5g 사용하여 흰개미 개체군 방제를 0~100%까지 다양하게 달성하였고 때로는 액체 살충제를 추가로 보충하기도 하였다. 온대지방의 Reticul- itermes속과 Coptotermes속 흰개미 방제는 키틴합성 억제제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나 개체군 제거에서는 간접적인 방해를 받았는데 미끼에 따라 25~450일 까지 큰 차이를 보였다.
○ 열대지방 흰개미는 가장 다양하고 풍부하지만 미끼연구가 별로 많이 검증되지 않아 성공률도 다소 낮았다. 따라서 향후 연구는 더 많은 흰개미 종을 고려해서 방제시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는 기타 유효성분 연구도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 최근의 흰개미관련 연구동향을 보면 열처리 조건이 목재의 색상 변화 및 흰개미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롯하여 흰개미 테리토리행동 연구를 위한 시뮬레이션 모델, 목조건축물의 흰개미 방제에 대한 국외 현황조사 등 다양하게 수행되었으며, 특히 목조 문화재 보전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 저자
- Theodore A Evans,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71()
- 잡지명
- Pest Management Science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897~906
- 분석자
- 한*빈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