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탄발전소 비산재(fly ash)를 활용한 제올라이트 개발
- 전문가 제언
-
○ 제올라이트는 현무암이나 휘록응회암 등 염기성 화성암의 공동이나 열극에서 산출되며 때로는 화강암·편마암 중에 2차 광물로서 존재한다. 또한 금광맥 등에서 산출되는 경우도 있다. 결정 구조적으로 각 원자의 결합이 느슨하여 그 사이의 수분을 고열로 방출시켜도 골격은 유지되므로 다른 미립물질을 흡착할 수가 있다. 이 성질을 이용해서 흡착제로 사용하며 크기가 다른 미립물질을 분리시키는 분자체로 사용한다.
○ 제올라이트는 알칼리 및 알칼리토금속의 규산알루미늄 수화물인 광물을 총칭하는 말로 색깔은 무색투명하거나 백색반투명하다. 비석이라고도 하며 방비석·어안석·캐버자이트·소다비석·휼란다이트·스틸바이트·로몬타이트·이네사이트 등이 있다. 함수량이 많은 점, 결정의 성질, 산상 등에 공통성이 있다. 굳기는 6을 넘지 않으며 비중은 약 2.2이다.
○ 그리스의 2개 갈탄발전소에서 나온 비산재(fly ash)는 흡착능력이 우수한 제올라이트 합성에 사용되어 왔다. 제올라이트 제품은 SEM, AAS, XRD를 사용해서 그 미세구조, 화학조성, 광물조성이 측정되었다. 확인된 1차 제올라이트 결정은 메갈로폴리스 비산재의 경우 필립사이트였고 멜리티 비산재의 경우 톰소나이트였다.
○ 합성 제올라이트는 중금속(Cd, Cr, Cu, Ni, Pb, 및 Zn) 등 다양한 종류의 오염물을 최대 100%의 효율로 흡수할 만큼 양호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합성 제올라이트의 효율을 비교 평가한 결과 필립사이트가 많이 포함될수록 미량원소 흡수율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 국내 포항소재 제올라이트 광산에서 생산되는 제올라이트는 주로 비료용, 건축자재, 온열매트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근년 우리나라 석탄 수입량은 연 1억 2,700만 톤으로 이중연료탄이 9,550만 톤으로 나타났다. 연료탄의 대부분은 석탄 화력발전소에서 사용되어 상당량의 비산재(fly ash)가 나올 것이다. 광산폐수를 포함한 폐수처리에 중금속 등 오염물질 흡착제로서 국내 비산재를 이용한 합성 제올라이트 개발에 대한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저자
- Grigorios Itskos, Athanasios Koutsianos, Nikolaos Koukouzas, Charalampos Vasilatos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139()
- 잡지명
- International Journal of Mineral Processing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3~50
- 분석자
- 김*인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