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접착제
- 전문가 제언
-
○ DG 바이오매스, 가교제 및 충전재로 구성된 DG 기반 바이오접착제가 목판을 만드는 포름알데히드 기반 목재 접착제에 대한 대체물로 개발되었다. 그와 같은 DG 바이오접착제의 제조공정이 제공되었고, 그 단계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졌다. DG 바이오매스나 주류 물질이 가교제, 무기 충전재와 혼합되어 혼합물로 형성되었고, 분말물질을 얻고자 그 혼합물이 미세화나 균일화가 되었으며, 바이오접착제를 형성하고자 분말물질에 물이 추가되어 혼합되었다.
○ 바이오접착제의 세계 시장 규모는 2014∼2019년 연평균 13.0%의 성장률로 성장하여 2019년 6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2013년에 지역별로는 북미 지역이 28% 이상으로 세계 최대 점유 지역이었다. 용도별로는 포장 및 종이산업이 최대 점유율을 기록하였으며, 전체 수요의 34% 이상을 차지하였다.
○ 무림 울산공장 내 연구소에서 목재 칩으로부터 펄프를 생산하는 공정에서 얻어지는 부산물인 리그닌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리그닌은 천연소재 접착제인 바이오접착제, 플라스틱과 혼합해 만들어지는 바이오플라스틱, 탄소섬유 등으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자동차의 내장재로 쓰이거나 페놀수지 접착제를 대체하여 가구, 건축 등에 친환경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 해양바이오산업 신소재연구단은 홍합이 바다 속 바위 등에 부착할 때 사용하는 접착 단백질을 활용하여 수술용 실을 대체할 수 있는 홍합 유래 순간조직 접착제를 개발하였다. 세계 의료봉합과 접합시장 규모는 연간 140억 달러 규모로 홍합 유래 조직 접착제의 상용화가 성공할 경우에 세계 시장을 주도해나갈 것으로 기대된다.
○ GS그룹은 전라남도와 함께 전남창조경제혁신센터(전남센터) 개소식을 열었다. GS칼텍스는 바이오화학물질을 생산하는 거점공장 두 곳을 여수산업단지에 지어 내년 하반기에 준공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 공장은 페인트, 접착제 등의 원료로 쓰이는 바이오부탄올 거점공장과 식물 원료로 만드는 플라스틱인 바이오폴리머 시범공장이다.
- 저자
- Wu, Xiu Ying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104565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44
- 분석자
- 현*옥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