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침지형 나노여과공정에 의한 섬유폐수 배출원수와 생물학적 처리섬유폐수의 처리에 대한 비교연구

전문가 제언

섬유폐수는 다양한 염료와 화학약품이 함유되어 배출되고 있어 처분이나 재이용 전에 적절히 처리되어야 하며, 또한 이들 폐수가 전처리 없이 배출되면 환경오염과 파괴를 일으키게 된다. “침지형 나노 여과공정에 의한 섬유 폐수배출원수와 생물학적 처리 섬유폐수의 처리에 대한 비교연구를 주제로 한 본 논문에서는 상이한 막간차압과 부피 농축계수 하에서 투과유량, 화학적 산소 요구량 저감, 색도 제거, 여과막오염과 세정이 조사, 비교된다.

 

본 연구에서는 섬유폐수는 침지형 나노여과를 통해 효율적으로 처리될 수 있었음이 밝혀졌고, 막간차압의 증가는 물투과성, 화학적 산소 요구량저감, 색도 제거와 유량 회수율의 하락을, 부피 농축계수의 증가는 증대된 화학적 산소 요구량 저감과 색도 제거를 발생시켰음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폐수원수의 화학적 산소요구량과 색도가 활성 침전물공정에 의해 부분적으로 제거되고, 생물학적 처리 섬유폐수의 화학적 산소요구량과 색도는 방출되거나 재이용되기에는 너무 높다는 것을 나타냈다.

 

침지형 나노 여과공정은 나노여과막(Nanofiltration Membrane)을 수중에 침적시켜 오염물질과 유독성 화학물질을 여과하여 재이용수를 생산하는 기술이다. 미국은 다양한 폐수처리용 여과막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럽, 일본 등 선진국은 여과막을 사용하여 수질오염을 최소화하는데 상당한 효과를 보고 있다. 특히 이스라엘, 싱가포르 등은 정책적으로 폐수의 처리 및 재이용에 여과막 분리공정을 적용하고 있다.

 

섬유폐수는 염료와 유독성 화학물질 등 생분해되기 어려운 용존물질 및 현탁물질을 함유하여 기존의 방법으로 그 처리가 쉽지 않다. 최근 섬유폐수 분야의 여과막 적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섬유폐수처리는 여과막법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오존산화법, 응집침전법 등이 보급, 사용된 경우가 있으나 현재는 생물학적시스템이 상당히 보급되고 있다. 또한, 국내의 여과막 연구는 그 기술수준이 선진국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므로 여과막 기술개발이 추진되어야 하고, 이에 대한 정부의 정책지원이 필요하다.

저자
Qing Chen,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284()
잡지명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121~129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