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통기 퇴비화 과정에서 호흡률, 질화작용 및 아산화질소 배출 관계
- 전문가 제언
-
○ 축산업의 성장과 함께 부산물로 발생하는 가축분뇨의 처리가 세계적인 문제로 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막대한 양의 가축분뇨는 적절한 방법으로 신속하게 관리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농산폐기물 및 가축분뇨의 퇴비화가 효율적인 처리방법으로 이에 따른 최종 생산품은 유기질 비료 및 농토 개량제로 사용된다.
○ 가축분뇨 확산은 지하수에 질산염 오염과 지표수에 부영양화를 가져온다. 이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 가축분뇨를 분산처리함으로 공해물질의 발생과 온실가스(GHG)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는 또한 보다 효율적으로 영양소를 회수하게 된다.
○ 본 연구에서는 퇴비화의 안정성, 질화반응 및 N2O 배출에 대한 모니터링의 지표로 호흡률(RQ: respiratory quotient)의 활용성을 관찰하기 위하여 2단계 접근을 택하였다. 첫 단계에서는 RQ 저감과 N2O 배출 간의 상관성을 규명하기 위해 정밀한 가스 분석으로 지표로의 RQ의 적정성을 평가하게 되다.
○ 국내에서는 음식폐기물과 하수슬러지를 대상으로 혐기성소화를 적용하는 것과 가축분뇨와 농업폐기물을 기질로 사용했던 사례는 종종 있지만 분뇨 및 야채 폐기물과 같은 유기성 물질의 퇴비화 과정에서 각종 기질을 혼합퇴비화 한 사례는 보이지 않았다. 본고에서와 같이 톱밥과 가축분뇨와의 혼합물을 대상으로 한 강제 통기성 퇴비화과정에서 호흡률, 질화작용 및 아산화질소 배출 관계에 대한 연구가 국내에서도 필요하다.
- 저자
- Hirofumi Tsutsui, Taku Fujiwara, Daisuke Inoue, Ryusei Ito, Kazutsugu Matsukawa, Naoyuki Funamizu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42()
- 잡지명
- Waste Manage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10~16
- 분석자
- 손*권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