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붕산염 알칼리 전해액을 사용한 Zn-Ni 합금 도금층의 내식성 향상

전문가 제언

아연-니켈 합금도금은 내식성과 내열성이 뛰어난 합금도금이다. 종래의 두꺼운 아연도금은 밀착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내식성도 불량하여 자동차부풍에 사용하는데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도금을 두껍게 하면 자동차 중량이 증가하고 성형이나 용접불량도 초래하였다.

 

이러한 아연도금이 갖는 내식성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아연-니켈 합금도금이 개발되고 있다. 2010년 독일의 J. Panek 등은 니켈함량이 8-15%일 때 가장 뛰어난 내식성을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앞서 T. V. Gaevskaya 등은 상의 아연-니켈 합금도금 피막이 내식성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2014년 S. Ghaziof 등은 아연-12%니켈 합금도금의 내식성 향상에 관한 연구결과를 응용표면과학지에 등재하였다.

 

2003년 국내의 현대기아자동차사는 아연-니켈 합금도금을 개발하였다. 염화칼슘을 많이 사용하는 북미나 유럽에 수출하기 위해서는 뛰어난 내식성을 요구해 옴에 따라 자동차 부품 도금업체에서는 아연-니켈 합금도금 개발에 전념하게 된 것이다. 2001년 인천의 피엠피티사는 스페인에 수출하는 자동차 클락션이나 스피커, 브레이크 오일튜브에 아연니켈 합금도금을 적용하였다.

 

아연-니켈 합금도금에서 니켈함량이 12%일 때가 동일두께의 아연도금층보다 5 7배 내식성이 우수하며 저전류에서는 니켈이 우선 전착되므로 밀착성 향상도 실현할 수 있다. 2010년 반월공단의 진일써핀사는 아연-니켈 합금도금 반자동 생산라인을 갖추고 자동차 엔진 브라케트, 핀 등을 연속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합금도금의 석출기구에 관한 기술 자료와 개발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고경력 과학기술자를 활용한 도금기술정보 제공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국내 도금뿌리산업 중소기업의 열악한 작업환경, 자금부족, 개발인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지원 프로젝트 추진이 필수적이다. 이에 향후 지속적인 도금현장 방문을 통한 아연-니켈 합금도금에 관한 기술혁신과제 추진과 연구개발이 효과적이라 사료된다.

저자
Heidi A. Conrad,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272()
잡지명
Surface and Coatings 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50~57
분석자
김*상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