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기능성표시 식품의 국제표준 품질관리 제도 고찰

전문가 제언

기능성 표시 식품분석에서 식품분석의 타당성에 관한 국제규격의 관련성 특히 영양 기능성 성분에 초점을 맞춘 수출입시험 등에서의 분쟁, 소송 등이 예상된다. 시험기관의 능력과 수준의 통일은 매우 중요하므로 WTO 가맹국에 대하여 GMP, HACCP, ISO 22000, CODEX의 지침에 따른 품질보증 체계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새로운 기능성 표시 식품의 기능성 성분, 영양성분 등의 적합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정량시험 중 검량선의 직선성, 정확성, 정밀도, 정량하한은 중요한 지표가 된다. 또한, 데이터의 차이에 의한 반복성, 매개정밀성과 재현성 등에 대한 타당성 확인이 필요하다. 영양, 기능성 식품 성분의 공정한 분석법으로 AOAC, 특정 보건용 식품분석법, 영양표시기준에 관한 분석법, 일본 식품 표준 성분표에 의한 분석법, 특별용도 분석법 등이 일본의 공인 분석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국내외 시험기관은 국제적 공신력을 얻기 위해 ISO/IEC17025 시험기관 및 교정기관의 자격에 대한 일반 요구 사항의 국제 기준을 따라 시행하고 있다. 국가기술표준원 한국시험기관 인정기구(KOLAS:Korea Laboratory Accreditation Scheme)를 중심으로 KSQ ISO/IEC 17025를 따라 시험기관들이 시험기관과 교정기관의 자격에 대한 일반요구 사항을 준용하고 있으나 통일된 시험법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김우성(2013) 등은 시험검사 신뢰성 보증체계 선진화 연구에서 시험검사 결과에 대한 시험기관과 교정기관의 자격에 대한 일반요구 사항을 발표한 바 있다. 국내 식품 분야의 KSQ ISO/IEC 17025를 인정받은 국내 기관은 총 31개 기관으로 공공 기관은 서울보건환경연구원, 농림수산검역본부 수산안전부, 민간 기업은 한국인삼공사 R&D 본부, 한국코카콜라, 오리온 기술개발연구원 등이 있다.

 

기능성 표시 식품의 시험결과에 대한 품질관리의 국제적인 수준에 맞는 제도 구축과 시험 및 인정기관에 대한 신뢰성확보가 필요하다. 국제표준 분석법을 이용한 품질관리는 소비자 검증에 기본적인 가치제공과 건강식품의 차별화에 이바지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
Tomoji Igarashi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50(6)
잡지명
食品と開發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66~71
분석자
신*은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