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갯무와 유우분의 혼합소화로 생성되는 메탄과 유화수소

전문가 제언

가축분뇨(축분)는 다른 유기물질에 비해 메탄수율이 낮기 때문에, 경제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다른 기질을 추가해서 혼합소화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 이 경우에는 각각의 기질이 갖는 상이한 조성 때문에 메탄생성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동기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공동기질이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는 바이오가스를 생성시킬 수 있는 탄수화물, 단백질 및 지질 등과 같은 에너지원을 다량으로 함유해야 하지만, 소화과정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와 유화수소가스와 같은 물질이 가수분해 또는 메탄생성반응을 억제할 수 있다.

 

도시와 가까운 농장에서는 도시고형폐기물의 일부인 유기성 폐기물을 공동기질로 쉽게 이용할 수 있지만, 가축사육장이 산지인 경우에는 별도의 에너지작물을 재배해서 공동소화에 사용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낙농가축분뇨(유우분)에 피복작물인 갯무를 투입해서 메탄생성량을 제고하고 있다. 갯무는 유우분에 비해 1.5배 이상의 메탄생성량을 나타내고 있지만, 유화수소도 유우분의 0.76±0.07L/-VS에 비해 훨씬 더 높은 2.23±0.06L/-VS를 발생시킨다.

 

갯무에서 생성되는 다량의 메탄 때문에 이렇게 높은 유화수소의 저해작용이 관찰되지 않았고, 유화수소농도는 갯무의 투입비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은 숙성기간에 따라 화학적인 조성이 상이하므로, 조기(10)와 말기(12)에 수확한 갯무룰 대상으로 메탄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는 각각 15.1±0.0114.9±0.3L/-기질의 누적 메탄을 생성했으므로 수확시기가 메탄생성량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국내에도 2006년부터 발전차액 보상제도를 운영하고 있고 한국에너지기술연구소와 ()한라산업개발, 농업과학기술원과 ()코오롱건설 및 ()대우건설이 축분의 혐기성소화기술을 개발해 소규모 소화시설을 설치했으나, 대규모 소화시설에 발전시설을 포함시킨 사례는 보고되지 않았.

저자
Ashley J. Belle,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80()
잡지명
Biomass and Bioener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4~51
분석자
진*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