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전해 Ni-W-P 합금 도금의 최적 인자
- 전문가 제언
-
○ 종래의 전기Ni-W-P 합금도금에서는 정밀부품이나 형상이 복잡한 금형에 응용하는데 있어서 양극의 위치나 보조음극, 차폐판 등의 장치를 개선하더라도 균일전착성의 확보가 어려웠다. 반면에 무전해 Ni-W-P합금도금은 비금속이나 금속표면에 균일한 3원 합금 도금층을 형성시키는 기술이다. Ni-W-P합금도금은 종래의 크롬도금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도금기술로서 치수 정밀성과 내열성과 내마모성, 내식성이 요구되는 LED용 방열 기판이나 유리 성형용 금형에 사용되고 있다.
○ 2010년 일본의 Kouichi IKEYAMA는 텅스텐산염과 착화제를 용해한 포스핀산을 환원제로 사용한 알칼리성 무전해 Ni-W-P합금 도금막을 보고하였다. 냉간압연 강판을 90℃의 도금액에 일정시간 침적하여 Ni-W-P합금 도금을 실시한 후, 도금피막의 경도, 내식성을 표면기술지에 등재하였다. Ni-W-P합금 도금막의 표면형상은 전계방사 주사전자현미경, 피막조성은 형광X선 분석장치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 무전해 Ni-W-P합금 도금피막의 경도는 580Hv정도이다. 400℃에서 1시간 열처리하면 900Hv, 600℃에서 1시간 열처리하면 경질크롬과 동등한 1050Hv까지 경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무전해 Ni-W-P합금 도금피막은 전기 Ni-W합금 도금피막보다 활성용해전류와 부동태화 전류도 작기 때문에 내식성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2012년 디엔지테크사는 무전해 Ni-W-P 합금도금의 공정 및 도금액의 특허를 출원하였다. 반월공단의 영인플라켐사는 2010년에 국산 무전해 Ni-W-P 합금도금액을 개발하여 베트남에 수출하고 있다. 향후 도금액 국산화와 함께 고경력 과학기술자를 활용한 무전해 Ni-W-P합금 도금현장의 기술정보 제공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저자
- Xin Shu,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276()
- 잡지명
- Surface and Coatings Tech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195~201
- 분석자
- 김*상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