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무기물 신틸레이터를 이용한 고속중성자 측정
- 전문가 제언
-
○ 지난 50년 동안 무수한 섬광체가 개발되었다. 무기질 섬광체의 발견 역사는 반세기가 넘고 Rontgen의 X선을 발견시 사용한 CaWO4을 시작으로, 1940년대 광증배관, 1950년대 Li 포함 화합물을 이용한 중성자 검출에 이어 높은 광출력 섬광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현재에는 기능상 열중성자부터 고속중성자까지 동시에 계측하는 복합형 중성자 검출기를 개발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져 왔다.
○ 본 논문은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무기물 신틸레이터 Cs2LiYCl6: Ce(CLYC) 단결정의 단일 중성자에너지를 갖는 빔에 대한 응답특성 연구에 대한 내용으로 고속중성자 검출 효율에 무기물 Ce(CLYC) 결정크기 및 Li 농축도가 미치는 영향, 선형응답 특성 등을 연구하여 동시에 감마선 분광, 열중성자 검출과 고속중성자 분광에 이용할 수 있는지를 실험적으로 확인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앞으로 이 섬광체는 보다 작고 단순한 시스템으로 개발되어 다양한 중성자 관련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 우리나라의 섬광검출기 분야 연구는 원자력연구원 정문규 박사가 1958년부터 시작하였으며 대형 검출 장치로서 하나로 중성자 빔 flux 프로파일 측정을 위해 위치 민감 기체검출기를 개발한 바가 있다. 경북대학교 연구팀이 자연 Gd이 함유된 액체 섬광검출기를 개발하여 토양에서 발생하는 고속중성자속을 측정하는 검출기를 제작하였고, 고려대학교의 고속중성자 조사 분포를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검출장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10년간 방사선 센서 소자 및 시스템 분야에서 상당한 진척이 있었으나 상용화는 여전히 낮은 편이다.
- 저자
- M.B. Smith, T. Achtzehn,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784()
- 잡지명
- Nuclear Instruments and Methods in Physics Research A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162~167
- 분석자
- 강*환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