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위한 농장규모 혼합소화에 대한 환경평가

전문가 제언

화석연료의 고갈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세계적으로 높아지면서, 에너지생산, 폐기물처리 및 온실가스 저감이라는 측면에서 가축분뇨, 유기기질의 공동소화가 관심을 받고 있다

 

유기물의 혐기성소화에서 다량의 바이오가스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유럽연합은 배출권, 발전차액 보상제도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기능단위를 평균 바이오가스 생산량으로 정하고 시스템경계에 옥수수 바이오매스 생산, 원료공급, 바이오에너지 생산, 소화액관리 및 회피과정을 포함했다.

 

전과정 영향평가에서는 기후변화, 오존파괴, 토양산성화, 담수 부영양화, 해양 부영양화, 광화학산화 물질 생성, 농지점유율 및 화석연료소비 등의 영향범주를 고려했다.

 

이러한 환경영향을 완화시키는 전략으로는 전기 생산 후에 잉여 열량이용을 극대화하고, 액체 소화액 저장조를 밀폐해서 바이오가스와 질소기반 가스의 배출을 최소화하며, 경지에 소화액을 적용하는 기술의 개발 등을 제시하고 있다.

 

혼합소화, 단독소화의 환경영향을 비교하면, 옥수수 줄기만의 단독소화가 가장 불량하고 다음으로 혼합소화, 돈분 슬러리의 단독소화 순서이었다.

 

소화액처리에서는 고액분리를 하지 않고 소화액 전량을 토양에 적용하는 방안의 환경성과가 가장 양호하고 다음으로 소화액의 고형분만을 적용하는 방안, 고형물과 액체 부분의 일부를 사용하는 방안 순서이었다.

 

국내에서도 전과정평가 기법이 이미 도입되었지만, 기본 설계과정에서 이를 적용한 사례는 미미하다. 이러한 결과로 환경 분야에서는 설계기준과 운영기준이 크게 달라서, 현장운영이 원활하지 못하는 사례가 허다하므로, 시설도입, 증설 또는 개선사업을 진행할 경우에는 전과정평가를 도입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저자
Lucia Lij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41()
잡지명
Waste Manage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50~59
분석자
진*섭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