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키틴·키토산올리고당의 경구섭취에 의한 항종양 및 항염증 효과

전문가 제언

키틴과 키토산은 지구상 유일의 동물성 식이섬유로 인체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생체 조절기능을 갖는 기능성 식품으로 면역력의 강화, 노화방지와 억제, 질병의 예방, 생체 리듬을 조절해 준다.

 

키틴은 갑각류(, 새우)나 곤충류의 껍데기, 곰팡이, 버섯 등 균류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물질로 주로 갑각류(특히 게)의 껍질을 추출하여 얻는다. 키틴은 분자량 100만 이상의 천연 고분자물질로 분자적 구조결합이 강하고 불용성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일반적으로 키토산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키토산은 키틴을 고온, 강알칼리 조건 하에서 탈아세틸화(deacetylation)하여 얻으며 N-아세틸 글루코사민이 5,000개 이상 결합한 천연 고분자물질로 글루코사민 잔기를 100% 포함하는데 일반적으로 60% 이상이면 키토산이라 부른다. 키토산은 아미노기를 가지고 있으며 산가용성으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키틴올리고당류와 키토산올리고당류는 키틴이나 키토산을 가수분해하여 얻는 올리고당이다. 이들 성분의 생체기능은 30년 전 부터 연구되어 항종양 및 항염증효과가 다수 보고되었으나 이들 대부분은 in vitro, 복강 내 투여 또는 정맥 내 투여에 의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in invo(생체 내) 작용을 실험하기 위하여 마우스 결장암 세포주(colon-26)를 이식한 종양모델에 키틴올리고당과 키토산올리고당을 경구 투여하여 항종양 및 항염증효과를 확인하였다.

 

국내연구로 키틴과 키토산올리고당의 제조, 키토산의 생리활성 및 안정성, 키토산막제조 및 생산기술, 기능성원료(N-아세틸글루코사민) 등 많은 연구가 있다. 또한 기능성식품으로 여러 종류의 키틴, 키토산올리고당 제품이 정제(tablet)형으로 시판되고 있으나 지금까지 키토산올리고당의 생체에서의 흡수·대사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앞으로 생체실험을 통한 키틴, 키토산올리고당류의 상세한 효과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저자
AZUMA Kazuo, OSAKI Tomohiro,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식품·의약
연도
2015
권(호)
57(5)
잡지명
New Food Industry
과학기술
표준분류
식품·의약
페이지
17~23
분석자
이*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