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전기전도성 접착테이프의 제조방법

전문가 제언

근년 전자기기의 성능 향상과 함께 경량화 및 소형화의 추진이 활발해짐에 따라 땜납이나 용접기술을 간편한 접착제로 대체해가는 추세이다. 접착제는 사용의 편이성 때문에 테이프, 시트, 필름 등 매우 다양한 매체로서 응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환경조건에 대한 내구 신뢰성이 요구되는 디스플레이, 전자소자, 전극 등 그 적용분야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전기전도성 접착테이프는 접지, 정전기 감쇄, 전자파(EMI) 차폐 등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한 소재로서의 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다.

 

이 발명은 다수의 전기적 통로(passageway) 또는 기공을 가진 다공질 기재를 사용하여 기재 내로 접착제 물질을 충분히 주입시킴으로써 전도성 물질 간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도성 다공질 기재표면에 불투명한 코팅을 부여함으로써 전기전도 신뢰성 향상 및 빛 차단에 의한 색상의 조화를 달성시키는 전도성 접착테이프를 제공한다. 한편, 특허청구권을 보면, 국내 기업 등에서 기존 상품화된 원료의 배합기술에 지나지 않지만 3M 그룹은 국내에서도 특수용도 접착제의 독보적인 기업이므로 특허를 참고할 경우에는 3M의 다른 접착제 관련 특허에도 유의해야 한다.

 

국내의 경우, 이 특허와 유사한 기술로서 (주)아모그린텍이 “전도성 점착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WO 201383882 A1)"이라는 제목으로 특허를 출원한 바가 있으며, 한국쓰리엠, 영창첨단소재 등에서는 전도성 접착테이프를 제조, 공급하고 있다. 감압 점착테이프의 제조에는 KCC를 비롯하여 강원산업, 대현에스티, 덕성하이텍 등 많은 중소기업이 참여하고 있으며, 전도성과 같은 특수기능 부여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접착제는 그 자체가 최종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이 아니고 각종 산업에서의 부자재를 접합하거나 조립하는 보조제로서 이용된다. 따라서 향후 접착제 관련 기술의 개발은 각종 산업에서의 조립공정 간편화, 경량화 및 소형화 등의 필요성에 대응하여 차세대 반도체 공정테이프, 구조용 접착, 신재생에너지 모듈용 접착 등 선도적인 산업의 기술공정에 적합한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대체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저자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자료유형
니즈특허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화학·화공
연도
2015
권(호)
WO20150112532
잡지명
PCT특허
과학기술
표준분류
화학·화공
페이지
~45
분석자
황*일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