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압 접착제
- 전문가 제언
-
○ 자동차부품, 건재, 전기제품, 사무기기 등 여러 가지 조건에서 사용되는 제품에는 폴리올레핀으로 대표되는 저표면에너지(low surface energy: LSE) 재료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들 재료를 점착제 등으로 접합하는 경우 점착제만으로는 충분히 접착할 수 없고, 재료의 표면에 전처리로서 프라이머가 도포되는 경향이 있다.
○ 블록공중합체를 함유하는 고분자 블렌드를 사용한 감압접착제는 단작용성 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아크릴레이트 모노머에 분산된 점착부여제, 비정질 탄성재료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감압접착제는 실온, 고온, 고온 노화 후 등 폭넓은 온도조건에서 LSE 재료 표면에 대하여 충분한 접착력을 발현하지 못하므로 LSE 재료에 대한 강한 접착력을 가지는 점/접착제 조성물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 이 발명의 감압접착제는 -20~60℃의 온도에서 점착성을 나타내며, 20~22℃ 및 10라디안(radian)/초에서 측정한 저장탄성률(G')은 3×105Pa 이하이다. 점/접착 고분자는 4~20개의 탄소원자의 알킬기를 가진 3급이 아닌 알코올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로 된 제1 모노머와 제2 모노머를 중합함으로써 얻어진다.
○ 제1 모노머는 n-부틸아크릴레이트, n-헥실아크릴레이트와 같은 0℃ 이하의 유리전이 온도를 가진 고분자가 선호된다. 제2 모노머는 에틸렌계 불포화기를 가진 모노머이며, 호모폴리머 중합 시에 0℃보다 큰 유리전이 온도를 갖는 고분자가 얻어진다. 제2 고분자로는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및 1~3의 알킬기를 가진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 이 발명의 감압접착제의 경우, 국내기업이 출원한 것은 찾아볼 수 없으며, 외국기업으로는 테사 소시에타스에서 두 개 이상의 모노머를 포함하는 가교 가능한 감압접착제가 출원되어 있으나 동일하다고 볼 수는 없다. 이 제품을 이용하여 수출할 경우에는 청구범위의 내용을 회피하는 방법을 생각해야 할 것이다.
- 저자
- 3M Innovative properties Co.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화학·화공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123667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화학·화공
- 페이지
- ~17
- 분석자
- 서*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