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태양열 온수 시스템에 상변화 물질의 활용 및 연구현황

전문가 제언

태양열 온수시스템(SWH, Solar Water Heating system)에 상변화 물질(PCM, Phase Change Material)의 잠열을 통해 열을 저장하면 기후나 밤낮 등의 변화로 운전이 단속적이 됨으로써 발생하는 열 공급과 수요 사이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PCM 열저장의 SWH에서는 어떤 조건에서도 즉시 온수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열량 변화가 큰 잠열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온수 열저장에 비해 작은 온도 변화, 적은 부피를 사용하여도 큰 열량을 저장할 수 있어 열손실을 줄이고 조밀한 시스템을 설계 및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PCM 열저장은 추운 날씨에서 효율이 떨어지고 시스템 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단점이 있으며 또한 기술적으로도 과냉각 현상, 장기 사용에 따른 불안정성 등의 문제들이 남아 있다.

 

현재 PCM은 고체-고체, 고체-액체, 고체-가스, 액체-가스의 4가지 상변화물질이 연구되고 있지만 실제 이용되고 있는 것은 고체-고체 및 고체-액체 PCM들이며 고체-가스나 액체-가스 PCM들은 특수한 용도로만 연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체-고체 PCM은 고밀도 폴리에틸렌, 층상화 칼슘 또는 티타늄, 다 원자 알코올 등이 개발되어 있고 고체-액체 PCM은 유기물질로는 지방산과 파라핀, 무기물질로는 금속과 수성염이 개발되어 있으며 다양한 화합물 등도 연구되고 있다.

 

이 자료는 SWHPCM의 기술적 개요와 특성, 연구개발 현황 및 앞으로의 기술개발방향을 잘 요약하고 있어 태양열 온수시스템 관련 분야에서 크게 참고할 수 있는 자료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1990년대부터 태양열 이용을 장려하는 정책을 펼침에 따라 태양열 온수시스템 시장이 1990년대 말에 연간 7만 여대에 이르는 등 시장이 크게 활성화되기도 하였으나 지금은 정부 지원이 거의 없어졌기 때문에 시장이 크게 침체되어 있다. SWHPCM 이용방식으로는 열 저장장치 통합방식, 집열판 통합방식, PCM 전용 회로방식 등이 연구되고 있으나 이의 보급 확대를 위해서는 시스템의 성능 개선과 함께 정부지원 등 비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대책이 절실하다.

저자
Zhangyuan Wang, Feng Qiu, Wansheng Yang, Xudong Zha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52()
잡지명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645~652
분석자
김*철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