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의류에 대한 지속가능한 제품-서비스통합시스템(PSS): 핀란드에 있어서 소비자의 소비대안에 대한 인식

전문가 제언

의류산업은 제품-서비스 통합시스템이 많은 기회를 제공하게 되는 환경발자국을 감축할 수 있는 혁신적 경영모델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의류에 대한 지속가능한 제품-서비스 통합시스템(PSS): 핀란드에 있어서 소비자의 소비 대안에 대한 인식의 주제 하에 실현가능성에 대한 장애와 통로의 결정에서 의류PSS의 긍정적 및 부정적 인식을 확인한다.

 

본 연구는 의류PSS 특성에서의 적당한 관심 수준과 의류PSS가 불필요한 소비를 감소시키는 소비대안을 제공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8가지 유형(수선 및 재디자인, 반품회수, 맞춤형 참여적 디자인, 자기창작, 컨설팅, 임대, 의류교환과 패션성과) 중에서 나이든 소비자에게는 반품회수, 의류교환과 컨설팅과 같이 제품만족을 위한 서비스가 가장 적합하며, PSS 체계의 경험적, 혁신적 및 사회적 접근방식(임대, 의류교환, 패션성과)이 젊은 소비자에게 가장 적합한 것으로 인식된다는 것을 강조한다.

 

PSS는 비즈니스 패러다임이 제품 중심에서 제품과 서비스가 결합된 제품서비스 통합모델로 전환된 형태로 제품과 서비스 단독으로는 불가능한 또 다른 소비자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기업의 경제성과 친환경성에서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고, 제품과 서비스의 상호보완작용으로 소비자에게 편의, 맞춤화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최근 세계 주요 제조기업들은 서비스를 통해 제품생산 이외의 활동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PSS의 사례로는 AppleiPodMP3 플레이어, 한국타이어의 타이어중심의 자동차 토털 서비스가 있다. 국내에서는 PSS모델 창출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그 개발 방안이 시도되고 있으나 아직 초창기 단계이며, 이와 관련하여 정부는 2008년 말에 PSS디자인을 지식서비스 분야의 산업원천 기술과제로 선정한 이후 제조업과 지식서비스의 융합을 통한 지식서비스산업 활성화를 추진해 왔다. 앞으로 소비자의 구매에 의한 소비에서 소비 대안으로의 지향과 함께 소비자를 만족시키고 지속가능한 가치를 창출하는 PSS모델의 개발과 이에 대한 정부 및 기업의 노력이 필요하다.

저자
Cosette M, Armstrong,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과학기술일반
연도
2015
권(호)
97()
잡지명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과학기술
표준분류
과학기술일반
페이지
30~39
분석자
김*식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