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광산의 폐점토를 이용한 CMAS 결정화 유리 건자재

전문가 제언

CMAS(CaO-MgO-Al2O3-SiO2)계 결정화 유리를 제조하는데 폐점토를 이용하여 제조원가를 낮추고 또 환경문제를 해결하면서 벽 타일로 적합한 유리-세라믹스를 개발하였다. TiO2ZnO를 핵 형성제와 융제로 첨가하였을 때 결정화 유리의 결정화와 점도에 미치는 영향을 DSCXRD, EPMA SEM으로 평가하였다. 결정은 다이옵이드가 주 결정상이고 스피넬이 종결 정상이었다. 용융온도, 성형온도, 전이온도가 각각 1,306, 1,160, 717로 낮은 용융 온도에 저에너지를 소모하는 제조공정을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비금속광산은 1981년도에 6.908개에서 2013년도에는 4.650개로 무려 33%가 감소하였다. 이에 따른 환경문제를 야기시키는 폐기물, 폐 규조토나 폐 점토 처리하는 비용도(39000/) 적지 않아 광산의 경제성 없는 폐 원료나 폐 광산의 분말성 원료들은 무방비 상태로 관리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광산의 원료정선 후 정제하고 남은 찌꺼기는 경제성도 없으며, 폐기 저장 운반처리 과정에서 분진 등의 환경공해 문제가 되는 찌꺼기 원료를 유가자원으로 회수하여 적정처리를 통하여 세라믹관련 제3, 4의 원료로 사용하는 방안을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다.

 

외국에서는 폐 광미에서 유가 자원회수, 유용광물 회수 및 적절 처리연구가 국가 차원에서 개발되고 있다. 미국의 EPA, 캐나다의 CANMET, 일본에서 Metal Mining Agency, 영국에서는 특히 콘웰 점토광산은 에덴 프로젝트로 시행중에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3년부터 산자부와 환경부에서 휴 폐광산의 폐자원으로부터 유가자원 회수기술 및 공정개발을 하고 있다.

 

국내에서 발생되는 폐 규조토나 폐 점토는 정제하여 세라믹스의 부 원료로 사용한다거나, 건축 내외장재, 각종 고부가가치 식생 재배용기, 생활자기, 예술 조형물 등에 활용할 대상은 많으리라 생각된다.

 

저자
Weihong Zheng, Hua CaO, Jingho Zhong, Shaoyang Quan, ZigangPeng, Chunhua Shunhua Shen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재료
연도
2015
권(호)
409()
잡지명
Journal of non-crystalline solids
과학기술
표준분류
재료
페이지
27~33
분석자
강*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