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폐금은추출공장에서의 장기적인 환경영향: 키프로스 사례연구

전문가 제언

키프로스는 지중해 동부 그리스 아테네의 동쪽, 터키의 아래쪽에 위치한 섬나라로 수도는 니코시아이다. 구리··크롬 등의 광물이 많이 생산되어 중요한 수출품이 되고 있다. 이 나라에서 70년 동안 버려진 폐금추출공장에서의 유해한 금속의 토양 오염과 산성광산 배수, 시안화물의 장기적인 환경영향을 조사하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금광의 처리방법으로는 청화법, 아말감법, 비중선별법, 부선법이 있으며 광석에 따라서 이들을 단독 또는 조합한 처리방법을 채용한다. 금과 공존하는 광물의 종류, 입자의 크기 및 표면상태 등 모두 처리계통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금광의 처리공장을 설계하는 경우에는 먼저 광석의 성질을 검토해서 청화법, 비중선별법, 아말감법의 병용을 고려한 가장 유리한 계통을 채용해야 한다.

 

청화법은 금·은광에서 금 및 은을 추출하는 습식 제련법의 하나이다. , ·은광을 미분쇄하여 알칼리성 광재로 만들어 강한 청화액을 보급하고, 교반조 중에서 공기를 불어넣으면서 장시간 교반하면 광석속의 금·은은 시아노 착염이 되어 녹아 나온다. 수은을 이용한 금추출은 소규모 금광산에서 이용되는 방법으로 금을 함유한 수은이 아말감형태로 나오는데 이를 녹여 수은을 증발시켜 금을 회수한다.

 

시안화수소(HCN; hydrogen cyanide)는 수용성, 맹독의 무색 기체로 속칭 청산이라 한다. 100ppm 이상 흡입할 경우 301시간 내에 사망 또는 위독한 상태에 빠진다. 미국·영국·일본 등지에서는 공기 중의 허용농도를 10ppm으로 규제하고 있다.

 

과거 한국의 금광산은 전국에 분포되어 있을 정도로 금이 풍부하게 부존되어 있었고 일제강점기 때는 금광산이 1500여개를 상회하여 세계 4위 금생산국으로 기록되기도 하였다. 금선광 및 제련과정에서 다양한 화학물질을 사용한 결과 지금까지도 환경오염현상이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하여 정밀조사가 요구된다. 2014년 말 현재 국내에 10여개 광산이 가행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장기적으로 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관리할 필요가 있다.

저자
Konstantina Lortzie, Marinos Stylianou, Dimitris Dermatas, Konstantinos Kostarelos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84()
잡지명
Engineering Ge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119~125
분석자
김*인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