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원지 터넬링과 모니터링에 근거한 Huangtupo 산사태의 발달 특성

전문가 제언

중국의 삼협저수지 지역에서 가장 크고 매우 복잡한 산출상태를 보이는 Huangtupo 산사태는 Badong지방이 위치한 위험지역에 놓여있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대규모 관찰터널과 모니터링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들 위험요인에 대한 교정노력을 현재까지 계속하여 실시해 왔으며 또한 터널에 대한 3D구조를 정밀하게 도면화하였고 실험분석을 위한 샘플을 제공해 주기도 하였다.

 

이 논문에서 밝혀진 새로운 조사결과는 Huangtupo 산사태가 단일의 산사태가 아니고 여러 개의 독립된 산사태가 결합된 복합체라는 것이다. 산사태의 운동은 하위에 있는 Badong층의 층간 미끄럼구역과 주요 파열대를 따라서 일어났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U-Th 불균형분석 연대측정 결과에 의하면 Riverside Slump라 부르는 산사태의 북쪽부분은 약 100Ka40Ka 등 최소 2회에 걸쳐 움직임이 있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들 이벤트는 Yangtze강의 하부굴착에 의해 만들어진 급경사면에 의해 유발되었음을 밝혔다.

 

이 논문에서 밝혀진 7년 동안의 원지 변위 모니터링에 의한 결과는 산사태의 끝부분에서 고정 콘크리트 혹은 다른 방호구조 설치에 의해 보호해 주고 있어서 산사태의 중심부에서는 가속단계를 유지하기 보다는 연간 약 15mm의 속도로 비교적 천천히 그리고 안정적인 속도로 미끄러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해주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이 국립공원관리공단과 함께 국립공원지역 산사태 피해예방을 위해 지역별 지질특성에 최적화된 산사태 감시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지난해에는 지리산 국립공원과 설악산 국립공원 내 산사태 위험지역 및 상습 발생지역 4개소에 산사태 감사시스템을 설치하였다. 지리산 내 설치지점은 천왕봉 인근의 중봉, 제석봉 등 고지대와 중산리 계곡으로, 이 지역들은 해마다 태풍이 한반도에 상륙하거나 근접하여 지나갈 때 가장 먼저 태풍의 영향을 받아 산사태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다.

 

저자
Huiming Tang,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2()
잡지명
Landslide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511~521
분석자
박*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