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나노입자를 이용한 백신의 합성

전문가 제언

전통적 백신은 사균 또는 약독화 생균으로 구성되어 매우 성공적으로 면역반응을 유발했으나 안전성 및 부작용 문제를 낳아 정제된 단백질 또는 펩티드 등만을 위주로 한 소단위 항원을 백신에 이용하고 있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이러한 백신의 약점인 면역원성을 강화하고 백신 전달을 극대화하는 한 방안으로서 나노입자에 대한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면역보조제 또는 전달시스템으로서 나노입자 시스템의 이점으로는 효소 분해에 대한 항원의 보호, 항원제시 세포의 활성화, 항원의 방출 연장, 세포-매개 면역 반응의 유발 등이 있다.

 

미국을 선두로 선진국들은 나노기술 분야는 물론 백신학 관련 풍부한 기반 기술과 인력을 바탕으로 백신과 면역보조제, 전달체계 분야에서 단연 강세로 기존 백신을 개선하면서 새로운 백신 개발을 도모하고 있다. 특히 입자형 백신과 관련하여 미국의 연구개발 활동이 주목할 만하다. 다국적 제약사들도 나노의약품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으나 백신의 경우 면역보조제로서 허가된 것은 아직 몇 가지에 지나지 않고 있다.

 

국내의 경우 최근 정부 차원의 백신산업 육성정책에 힘입어 백신생산 기술 수준이 크게 향상되었고 나노재료 자체 및 약물전달체계에 관한 연구개발도 활발하다. 또한 바이오시밀러, 줄기세포치료제, 항체생산 기술 등 다양한 바이오의약품 생산기반 기술도 많이 확립된 것으로 판단되나, 면역보조제 및 나노입자 백신과 관련된 연구 활동은 아주 저조하다. 백신 관련 신기술을 창출하여 백신산업 글로벌 진출을 적극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 분야에 대한 실질적 연구 투자 강화가 요구된다.

 

이 총설에서 저자는 나노입자-기반 합성백신의 응용은 병원균 감염 예방뿐 아니라 암과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를 위한 영역으로 확대될 것이며, 이러한 합성백신 나노입자의 영향 및 독성에 대한 일반인들의 우려는 생물호환성과 생의학 응용에서 유용성을 입증하는 연구를 통해 불식될 것이라고 하였다.

저자
Josiah D Smith, Logan D Morton, Bret D Ulery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바이오
연도
2015
권(호)
34()
잡지명
Current Opinion in Biotechnology
과학기술
표준분류
바이오
페이지
217~224
분석자
차*희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