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르복시산과 술폰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공중합체 세제 조성물의 합성
- 전문가 제언
-
○ 계면활성제는 다른 성질을 가지는 2개의 화학적 작용기인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1개의 분자 내부에 가지고 있는 특이한 구조물질로, 고체-고체, 고체-액체, 고체-기체, 액체-액체, 액체-기체 사이의 경계면에서 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며, 분리되어 있는 물질을 혼합하거나 경계면에 용이하게 흡착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특이한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계면활성제는 다양한 물질로 산업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 계면활성제는 친수성기와 소수성기의 대소에 따라서 수용성 계면활성제와 유용성 계면활성제로 구분된다. 또한, 친수성 부분에 있어서 이온성의 여부에 따라서 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온성 계면활성제에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이 있다.
○ 계면활성제는 세제용도로 많이 사용되는 이외에 식품과 화장품의 유화제, 보습제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계면활성제는 화학구조를 약간 변형시키는 것만으로도 특성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종류도 다종다양하다. 계면활성제는 세정작용을 강하게 발휘하는 세제로 미셀을 형성한다. 이것은 비눗물과 같은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일정한 값 이상으로 증가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습윤작용, 침투작용, 흡착작용, 분산작용, 보호작용, 기포작용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 역사적으로 계면활성제는 비누에서 시작되어 섬유공업에 있어서 염색조제, 정련제, 마무리제 등으로 개발되었고, 현재는 화학공업의 진보와 더불어 합성세제, 합성수지, 유화중합용 유화제, 농약유화제, 금속세정제, 대전방지제, 분산제, 기포제, 침투제, 가용화제 등으로 모든 산업에서 조직적으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그 종류도 연구 중인 것을 합치면 수 천 종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삼성정밀화학, SK, 이수화학 등의 대기업에서 새로운 계면활성제의 개발에 연구 노력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 많은 고부가가치 제품이 출현할 것으로 기대하는 바가 크다.
- 저자
- RHODIA OPERATIONS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110956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55
- 분석자
- 정*진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