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동물의료용 핵의학의 최근 진보

전문가 제언

가족 구성원의 감소와 고령화 그리고 핵가족화 등이 빠르게 확산되는 사회적인 배경과 맹도견이나 시중드는 개 등 봉사견에 대한 인식이 사회에 폭넓게 확대되면서, 다른 영상진단으로는 얻을 수 없는 장기·조직의 상세한 기능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치료방법의 선택에도 큰 도움을 주는 동물핵의학이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동물은 신체의 이상을 호소할 수 없으므로 체내 정보를 객관적으로 저침습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첨단적 영상진단법이 요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X선 촬영뿐만 아니라, 초음파 진단, XCT, MRI도 동물의료에서 폭넓게 이용되고 있지만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생체의 기능 정보를 비침습적으로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서 동물핵의학 진료가 오래 전부터 많이 요구되어 왔다.

 

경주 중에 말의 골절은 동물의 생명에도 관련되지만 기수의 안전에도 중요하므로 해외에서는 말의 절음발이 감별진단 방법으로 핵의학 진단인 뼈 신티그래피(bone scintigraphy)가 우선적으로 선택되고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도 말의 뼈 신티그래피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고 검토하여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우리나라에서도 가축동물에 대한 핵의학 진단이나 방사선 치료가 이들에 원용될 농림축산식품부 부령인 동물용 의약품 등 취급 규칙과 원자력안전위원회 규칙인 방사선안전관리 등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칙아래서 가능할 수도 있다고 생각되지만, 동물에 대한 핵의학 진단이나 방사선 치료에 관한 기술적 기준이 규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가축동물에 대한 진단과 치료의 선진화를 위하여 동물 핵의학에 관련된 법적 규정의 제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저자
Ito Nobuhiko, Natsuhori Masahiro, Kakizaki Takehiko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일어
기업산업분류
에너지
연도
2015
권(호)
2015(735)
잡지명
Isotope News
과학기술
표준분류
에너지
페이지
7~12
분석자
이*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