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수생환경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계열 살충제
- 전문가 제언
-
○ 네오니코티노이드는 니코틴계열의 신경자극성 살충제로 1980년 쉘 석유 사에 의해 개발이 시작되었고 바이엘에 의해 개발이 완료되었는데 클로티아니딘,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클로프리드, 디노테푸란, 아세트아미프리드, 니텐피람, 아메콕삼 등의 제품이 있다. 네오니코티노이드는 세계보건기구 분류방법에 의하면 저 독성 농약에 속하며 색이 없고 냄새가 없어서 현장살포 후에 반경 4 km까지 오염시키는 성질이 있어서 서서히 생태계에 위험을 미치고 있다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 현재 전 세계적으로 벌의 개체 수는 1980년대에 비하여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2007년 이후 매년 미국 꿀벌의 30%가 폐사하고 있으며, 2012∼2013년도에 캐나다에서도 꿀벌의 30%가 감소하고 유럽에서도 동 기간에 20%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 세계적인 꿀벌의 감소 원인으로 네오니코티노이드의 남용이 지목되었으며, 유럽에서도 네오니코티노이드가 벌집군집붕괴현상의 원인이라고 단정하고 판매금지 판정을 내렸으며 2013년부터 이 농약의 사용을 한시적으로 금지하였다.
○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는 벼와 과수농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다양한 작물의 진딧물, 총채벌레, 벼멸구, 벼 물 바구미, 꽃 매미 등의 방제용 약제로 많이 판매되고 있다. 한국 작물보호협회의 농약 지침서에는 네오니코티노이드 농약 사용에 대하여 “ 꿀벌에 잔류독성이 강하므로 꽃이 피기 3일전부터 꽃이 완전히 질 때가지 사용하지 말고 일시에 광범위한 지역에 살포하지 말라"는 안전사용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 환경부에서는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측정망을 운영하고 있는데 2010년도 조사결과에 의하면 Aldrin, Chlorodan 등은 수질과 대기에서 검출되지 않고 있으나 토양 및 퇴적물에서는 DDT와 Chlorodan이 검출되었다. 네오니코티노이드와 관련해서는 유럽연합의 한시적 사용금지기간(2013년 12월∼2015년 11월)에는 타아메콕삼, 클로티아니딘, 이마다클로프리드에 대한 국내 신규 등록 및 변경 등록을 금지하도록 조치가 취해졌으며 유럽연합의 평가에 따라 추가적인 조치가 예상되고 있다.
- 저자
- J. C. Anderson, C. Dubetz, V. P. Palace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환경·건설
- 연도
- 2015
- 권(호)
- 505()
- 잡지명
-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 과학기술
표준분류 - 환경·건설
- 페이지
- 409~422
- 분석자
- 황*중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