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캐나다 수생환경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계열 살충제

전문가 제언

       ○ 네오니코티노이드는 니코틴계열의 신경자극성 살충제로 1980년 쉘 석유 사에 의해 개발이 시작되었고 바이엘에 의해 개발이 완료되었는데 클로티아니딘, 이미다클로프리드, 티아클로프리드, 디노테푸란, 아세트아미프리드, 니텐피람, 아메콕삼 등의 제품이 있다. 네오니코티노이드는 세계보건기구 분류방법에 의하면 저 독성 농약에 속하며 색이 없고 냄새가 없어서 현장살포 후에 반경 4 km까지 오염시키는 성질이 있어서 서서히 생태계에 위험을 미치고 있다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벌의 개체 수는 1980년대에 비하여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2007년 이후 매년 미국 꿀벌의 30%가 폐사하고 있으며, 20122013년도에 캐나다에서도 꿀벌의 30%가 감소하고 유럽에서도 동 기간에 20%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전 세계적인 꿀벌의 감소 원인으로 네오니코티노이드의 남용이 지목되었으며, 유럽에서도 네오니코티노이드가 벌집군집붕괴현상의 원인이라고 단정하고 판매금지 판정을 내렸으며 2013년부터 이 농약의 사용을 한시적으로 금지하였다.

 

         네오니코티노이드 살충제는 벼와 과수농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데 다양한 작물의 진딧물, 총채벌레, 벼멸구, 벼 물 바구미, 꽃 매미 등의 방제용 약제로 많이 판매되고 있다. 한국 작물보호협회의 농약 지침서에는 네오니코티노이드 농약 사용에 대하여 꿀벌에 잔류독성이 강하므로 꽃이 피기 3일전부터 꽃이 완전히 질 때가지 사용하지 말고 일시에 광범위한 지역에 살포하지 말라"는 안전사용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 환경부에서는 잔류성 유기오염물질 측정망을 운영하고 있는데 2010년도 조사결과에 의하면 Aldrin, Chlorodan 등은 수질과 대기에서 검출되지 않고 있으나 토양 및 퇴적물에서는 DDTChlorodan이 검출되었다. 네오니코티노이드와 관련해서는 유럽연합의 한시적 사용금지기간(201312201511)에는 타아메콕삼, 클로티아니딘, 이마다클로프리드에 대한 국내 신규 등록 및 변경 등록을 금지하도록 조치가 취해졌으며 유럽연합의 평가에 따라 추가적인 조치가 예상되고 있다.

저자
J. C. Anderson, C. Dubetz, V. P. Palace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505()
잡지명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409~422
분석자
황*중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