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걀 알레르기 개요
- 전문가 제언
-
○ 알레르겐은 알레르기성 질환의 원인 항원으로 생체에서 항체가 만들어져 같은 물질과 다시 접촉할 때 항원항체 반응이 일어난다. 이때 생긴 물질로 몸에서 급격한 반응능력이 변하는 것을 알레르기라고 한다. 이 반응은 자기보존을 위한 중요한 방어기제의 하나인데, 보통 생체에 보호 작용을 하지만 때로는 불리하게 작용하여 장애를 일으킨다.
○ 식품 알레르기는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알레르기의 하나이다. 이중 맹검 연구에서 대상 어린이의 80%가 식품 알레르겐에 과민증상이 발생하였다. 선진국에서 어린이 10%가 신흥국이나 개발도상국에서는 7%가 영향을 받고 있다. 달걀 알레르기는 우유 알레르기 다음으로 흔하며 주로 영유아에게 발생한다. 식품 알레르기 발생은 다른 아토피와 같이 전 세계적으로 늘고 있어서 치료에 엄청난 재정 부담을 안기고 있다.
○ 난점질, 난백 알부민, 오보트란스페린과 리소자임이 주요 달걀 알레르겐이며 난점질이 알레르기를 가장 많이 일으킨다. 달걀 알레르기가 있으면 흰자와 노른자를 모두 제한해야 한다. 달걀은 식품조리에 많이 쓰이므로 달걀이 든 음식이나 조리 가공식품을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 다른 새알에도 주의해야 하며, 백신과 영양주사제를 달걀성분으로 만드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전 세계적으로 알레르기 치료법을 찾기 위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고 희망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알레르기 발생을 낮추는 저 알레르겐은 알레르기 환자를 둔감하게 하는 면역요법에 쓸 수 있어 연구 개발 초점이 된다. 그렇지만 저 알레르겐과 면역 글루불린 E 반응 재조합 알레르겐은 환자 투여 전에 반드시 임상시험이 이루어져야 한다.
○ 우리나라에서도 달걀 알레르기를 비롯한 알레르기가 일찍부터 문제가 되고 있다. 환자의 고통이 심할 뿐 아니라 치료도 어려워 사회경제적으로 큰 문제를 안고 있다. 그러나 달걀 알레르기 치료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저 알레르겐과 재조합 변종 개발 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하여 치료법 개발이 매우 시급하다.
- 저자
- Pathum Dhanapala, Chamika De Silva, Tim Doran, Cenk Suphioglu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식품·의약
- 연도
- 2015
- 권(호)
- 66()
- 잡지명
- Molecular Immunology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식품·의약
- 페이지
- 375~383
- 분석자
- 김*순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