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Siberia Olkhon Island에서 산사태 개시 요인으로서의 지질, 영구동토층과 호수면 변화

전문가 제언

기후변화의 결과로 지난 수십 년 동안 관찰된 영구동토층의 감소는 극저온산사태 과정의 활성화를 불러일으켰다. 불연속 영구동토층지역에 위치한 Baikal 호수의 Olkhon Island에 대한 연구는 산사태 형태와 기후조건이 얼마나 밀접하게 관련되는지를 결정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또한 이 지역에서는 어떠한 산사태 타입이 관찰된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지시자이고 이들 산사태가 어느 정도까지 기후와 반응할 수 있는지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산사태가 확인되었고 그들의 지형, 지질구조 및 열적 파라미터가 평가되었다. 그 결과로 주요과정은 부분적으로 마이오세호수 진흙층의 존재와 Baikal 호수의 수면 변화 때문에 활동층 두께가 증가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영구동토층은 지층의 온도가 연중 00C 이하인 부분을 말한다. 지표가 냉각될 수 있도록 한랭한 겨울이 길고 강설량이 적어 지열의 방출을 막지 말아야 하며 대체적으로 연평균기온 -1-50C가 되어야 영구동토층이 발달되며 대체로 북위 500 이북에 분포한다. 여름이 되면 지표에서 1.56m 정도가 융해되어 활동층이 나타난다. 활동층이 형성되면 토양수가 생기는데 활동층 밑의 영구동토층이 토양수의 배수를 막게 되고 따라서 수분이 포화상태에 달하게 된다.

 

지구온난화로 시베리아 북동부의 영구동토층이 녹으면서 함유하고 있던 탄소를 빠른 속도로 방출해 온난화를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다. 또한 고산정상의 영구동토층은 가파른 산비탈을 달라붙어있게 하도록 접착제역할을 하여왔으나 지난 십년간 오르는 기온이 땅을 불안정하게 만들고 얼어붙은 흙을 진흙으로 전환시켜 전 세계의 산들에서 산사태를 증가시켰다. 다행히 우리나라는 영구동토층지역에는 위치하지 않으나 세계적 이슈가 되고 있는 지구온난화 진행을 막도록 협조해야 한다.

저자
Sebastian Tyszkowski,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2()
잡지명
Landslide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573~583
분석자
박*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