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기술정보

  1. home
  2. 알림마당
  3. 과학기술정보분석
  4. 첨단기술정보

Spain Puigcercos 절벽에서 2013년 12월 3일 암반붕괴를 일으킨 점진적 파열

전문가 제언

스페인 카탈로니아지방의 Puigcercos 시험 연구지역에서 2013123일에 일어난 암반붕괴의 전조파열거동에 대한 정밀분석이 이루어졌다. 파열된 정확한 일시는 매 4시간 마다 이루어진 사진 모니터링에 근거해서 취득되었다. 지반 LiDAR에 의해 수행된 암반 경사면에 대한 장기간의 모니터링(2,217일간)은 마지막 파열이 일어나기 전의 전조파열변형과 전조암반붕괴의 조기발견을 가능케 하였다.

 

전조파열변형 분석의 도움으로 4개의 변형지역이 탐지되었고 3차 크리프상이 그들 중 3곳에서 관찰되었다. 파열시간을 예측하기 위한 시도는 Fukuzono 방법을 이용해서 수행되었다. 더욱이 점진적으로 파열되는 동안 4개 지역에서 일어난 전조암반붕괴의 시간적 발달은 3차 크리프 상에서 누적된 변위량의 지수패턴과 매우 유사함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기상조건 연구결과는 마지막 붕괴와 관련된 단일의 촉발요인을 보여주지 않았다. 역으로 변형패턴에서 관찰된 가속도와 함께 경사면 여러 지역에서 전조암반붕괴 산출상태의 증가는 안정조건의 점진적 약화역할을 보강하면서 결국에는 123일의 암반붕괴 이벤트로 이어졌다.

 

해외 각국에서는 산사태 피해 저감을 위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하드웨어적 대책으로 토사재해 대책시설 정비, 사방설비, 산사태 방지시설, 급경사지 방지시설 등을 실시하고 있고 소프트웨어적 대책으로는 재해 유발행위 규제, 토사재해 위험 개소의 피난체제 정비 등을 실시하고 있다. 대만에서는 GIS시스템을 기반으로 관련 자료를 분석하고 위험지역을 선정하며 산사태 모니터링, 경보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국립공원지역 산사태 피해예방을 위해 지역별 지질특성에 최적화된 산사태 감시시스템 구축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국의 산사태 위험지역에 대한 추가적 감시시스템이 필요하다.

저자
Manuel J. Royan, et al.
자료유형
니즈학술정보
원문언어
영어
기업산업분류
환경·건설
연도
2015
권(호)
12()
잡지명
Landslides
과학기술
표준분류
환경·건설
페이지
585~595
분석자
박*순
분석물
담당부서 담당자 연락처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문서 처음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