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조종 이동로봇
- 전문가 제언
-
○ 로봇산업은 타 산업을 견인할 수 있는 대표적 융합산업으로 세계 로봇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국가 간 경쟁이 치열하다. 미국은 화성탐사 로봇을 개발, 2016년 발사할 계획이며, 일본은 국가 성장전략에 로봇이 포함되어 있고, EU는 'Horizon 2020 RoboCom 프로젝트를 추진하여 로봇 산업육성을 하고 있으며, 한국도 지능형 로봇 기본계획에 의해 융합형 로봇 제품개발 등 로봇산업 육성에 투자하고 있다.
○ 인간이 접근하기 곤란한 재해현장 이나 화성 표면 같은 우주 탐사, 전장에는 원격조정 로봇을 활용하여 인간을 대신하여 임무를 수행케 할 수 있다. 이 특허는 로봇의 원격조종과 로봇이 포획한 영상을 강화하는 방법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 로봇의 원격조종방법은 영상을 수신하여 그 영상에 로봇 표현을 중첩시켜 영상을 강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로봇 표현은 로봇의 이동부분에 대응하는 이용자 선택 부분을 포함한다. 이 특허는 강화된 영상의 현시와 로봇 표현의 이용자 선택 부분 지시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 국내의 원격조종 로봇 관련 특허는 2011년 ADD가 다중주파수 환경에서 원격통제장치를 개발했고, 한국전자통신 연구원이 원격로봇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장치를 통해 로봇을 원격제어하는 기술을 출원했으며(2007년), 가상현실 기술을 이용한 로봇 원격제어시스템을 개발했다(2001년). 또한 KIST, DGIST, 해양과학연구원, 성균관대 등에서 원격조종 로봇시스템 관련 특허를 출원하고 있다.
○ NDSL에서 “remotely controlled robot”을 검색하면 관련 특허가 미국 특허 143건, 일본특허 56건, 유럽특허 28건, 국제특허 40건, 한국특허 1건(국내 특허 원격조정 로봇 검색 시는 73건)으로 한국의 원격조정 로봇기술 경쟁력이 미약함을 알 수 있다. 앞으로 우주개발을 위해 달에 로버를 착륙시켜 표면을 탐사하거나 방사선, 바이러스 등으로 인한 재해사고 발생 시를 대비하여 원격조종 로봇의 개발은 필수적이다.
- 저자
- IROBOT Corporation
- 자료유형
- 니즈특허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정밀기계
- 연도
- 2015
- 권(호)
- WO20150105572
- 잡지명
- PCT특허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정밀기계
- 페이지
- ~91
- 분석자
- 이*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