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랜트 배관의 최신 용접기술
- 전문가 제언
-
○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은 각종의 동력기계설비, 발전설비, 열교환기, 압력용기 등이 복합되어 있는 구조로 육상의 어떠한 플랜트설비보다도 많은 배관을 필요로 하는 플랜트 구조이다. 특히 FPSO와 같은 해양구조물은 석유의 생산과 정제, 하역 설비를 갖는 거대 복합 해양 플랜트로써 이의 구축을 위한 배관 용접기술은 공기단축 및 비용 삭감과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 배관 용접은 전 자세용접을 필요로 하며, 대부분 현지용접으로 구속상태에서 용접을 해야 하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수동용접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자동화가 진척되지 못하고 있는 현상에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용접기기의 소형화, 콤팩트화, 그리고 각종 센서와 디지털기기의 발전으로 자동화가 국내외에서 활발히 시도되고 있다.
○ 본문은 일본의 Toshiba 전력에서 개발한 발전 플랜트 배관의 자동 용접장치와 배관용접 작업자 양성 방법에 대해 소개한 내용이다. 자동용접은 외경 150mm이상의 배관용접에 효율적이며, 용접 프로세스는 용가봉을 가열하여 공급하는 핫와이어 TIG 자동용접, 그루브는 내로우갭화하여 용착단면을 삭감하는 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공기단축과 비용삭감을 가져오는 배관 용접 기술을 소개한 내용으로 국내의 조선 해양플랜트 배관 용접기술 개발에 매우 유익한 자료로 사료된다.
○ 조선해양기자재산업에서 배관용접기술의 고도화는 조선 해양 플랜트의 수주경쟁력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국내외의 육상과 해상의 각종 플랜트의 고령화에 따른 배관 설비의 보수를 위한 용접 공정도 대단히 많은 수요가 발생되고 있다. 용접 작업자의 고령화와 신규 용접 기능 수검자의 수가 감소하고 있는 시점에서 플랜트배관의 자동 용접기술개발을 위한 노력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 배관 용접 기술의 고도화를 위해서는 용접공정의 자동화와 용접공정의 인프로세스 모니터링 기술의 복합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이것은 기존의 용접 기술에 IT 기술과 센싱기술의 접목을 통해 달성할 수 있다.
- 저자
- KATO Katai, NAKAMURA Shinichiro, BOKUNO Yoshino, OOKYU Seigen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일어
- 기업산업분류
- 재료
- 연도
- 2015
- 권(호)
- 63(8)
- 잡지명
- 溶接技術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재료
- 페이지
- 40~45
- 분석자
- 김*식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