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에서 술파닐산-처리 은-나노입자를 이용하는 멜라민의 비색검출
- 전문가 제언
-
○ 멜라민은 시아나미드(CN2H2)의 삼합체인 유기염기로 질량 기준으로 질소 67%를 포함하고 있다. 멜라민을 식품에 참가하여 Kjeldahl-Dumas test 같은 단백질분석방법으로 측정하면 질소의 증가 때문에 외견상의 단백질 함량이 증가된다. CEM Corp.에서 개발한 SPRINT라는 기기는 어떤 경우 단백질 함량을 직접 측정할 수 있다. 인체에서 멜라민의 만성노출은 암, 생식장애를 일으킬 수 있고 눈, 피부, 호흡기 등에 자극을 준다.
○ 중국의 멜라민 생산과 수출은 세계 제1위이다. 중국에서 2008년 9월에 Nestle를 포함하는 몇몇 회사가 멜라민을 첨가한 우유와 유아 제조우유를 판매하여 특히 어린아이들의 신장결석과 기타 신부전을 일으켰다는 추문에 휩싸였다. 2008년 12월에는 거의 3십만 명이 병들었고, 5만 명 이상의 유아가 입원하였으며, 5명이 목숨을 잃었다. 2008년 12월에 중국 법정에서 이 사건에 의혹을 받은 6명이 재판을 받고, 그중 2명이 사형언도를 받아 처형되었다. 2008년에는 미국 FDA와 일본의 보건노동 복지성이, 2009년에는 European Commission의 JRC가 실험실에서 식품의 멜라민을 검출하는 방법을 공표하였다.
○ 본문의 연구는 우유에서 간단하고, 빠르고, 저렴하고, 고민감도의 멜라민 검출법을 술파닐산으로 은-나노입자의 표면을 입힌 SAA-AgNPs를 이용하여 멜라민과 SSA의 수소결합으로 인한 나노입자의 응집을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육안으로도 관찰할 수 있는 색깔의 변화를 UV-visible 분광계로 극미량 멜라민을 검출하는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 국내에서 농산물 중 유해물질의 검출에 대한 연구는 농촌진흥청의 국립농업과학원과 경상대 등에서 연구가 수행되고 있기는 하지만, 본 분석자가 아는 한도 내에서는 멜라민 검출분석연구는 없다. 2010년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청 발표에 의하면 2008년 중국산 우유, 분유 등 함유식품 428개 품목을 선정하여 검사한 결과 중국산 과자류 등 10개 품목에서 멜라민이 검출되었다고 한다.
- 저자
- Song, J,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바이오
- 연도
- 2015
- 권(호)
- 50()
- 잡지명
- Food Control
- 과학기술
표준분류 - 바이오
- 페이지
- 356~361
- 분석자
- 강*구
- 분석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