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소 폐로계획을 위한 방사화 계산
- 전문가 제언
-
○ 세계원자력위원회의 2015년 4월 보고에 의하면 110개의 상용로, 46개의 실험로/원형로와 250개 이상의 연구로가 현역으로부터 은퇴하였다. 은퇴한 원자로는 해체되어야 하고 오염제거 후 철거되어 다른 용도로 이용될 수 있게 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17년부터 고리1호기는 영구정지 상태에 들어가며 앞으로 월성 1호기도 영구 정지될 예정이다. 또한 앞으로 우리나라 발전소의 평균 수명이 30~40년인 점을 감안할 때 향후 해체되는 원전의 수는 증가될 것으로 예상된다.
○ 그러므로 해체가 계획된 원전에 대한 방사능 재고량 평가는 시급하며, 이는 해체 과정에서 요구되는 계획 수립과 해체 방법 결정, 해체 비용 평가, 해체 작업 종사자의 피폭량 예측, 방사성폐기물의 관리 및 처분 요건 결정 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 본 논문은 중성자와의 상호작용으로 유발되는 방사화 계산을 위하여 MCNPX 프로그램을 이용한 정량적 평가 방법을 제시하고, WWER-440 형 원자로 2기(Paks & Armenian NPP)에 적용하여 분석한 내용을 기술하고 있다. 특히 원자로가 정지된 후 시간에 따른 생성된 주요 방사화 핵종들의 소멸 특성들과 방사능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효율적 폐기물 관리나 해체 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였다.
○ 외국의 해체 경험은 미국이 15기 이상이며, 독일이 3기이고 최근 일본도 후쿠시마 원전에 대한 해체를 시작하였으나 기술 수준이 미흡한 편이다. 우리나라는 연구로 Triga Mark 2&3호기를 해체한 경험을 갖고 있으며 2020년대에는 상용발전소를 해체하여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정부 역시 ‘원자력 시설 해체 연구센터’를 준비하는 등 체계적인 육성책을 수립하고 있다. 상용기술은 산업부와 한수원을 주축으로 해체·제염분야 13개 기술개발(2006~2018)을 진행 중이다.
- 저자
- Boglarka Babcsany, et al.
- 자료유형
- 니즈학술정보
- 원문언어
- 영어
- 기업산업분류
- 에너지
- 연도
- 2015
- 권(호)
- 284()
- 잡지명
-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 과학기술
표준분류 - 에너지
- 페이지
- 228~237
- 분석자
- 강*환
- 분석물
-